The words you are searching are inside this book. To get more targeted content, please make full-text search by clicking here.

final-나의친구 인디언-아래한글 원본입니다2

Discover the best professional documents and content resources in AnyFlip Document Base.
Search
Published by ctchomelee, 2021-04-13 21:52:58

나의 친구 인디언

final-나의친구 인디언-아래한글 원본입니다2

공인받은 560여 부족의 원주민들
이 미국 전역에 걸쳐서 존재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많은 부족민들
은 보호구역 내에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더 많은 부족들은 아직도
미국 정부에 의해 공인을 받지는
않았지만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
런데 여전히 의문은 남습니다.
“인디언들이 미국에 살고 있다면
그들은 왜 보이지 않는 것일까?”
미국에서 인디언들은 다른 여러
소수(minority) 민족들과 마찬가
지로 소수에 속해 있습니다. 이
처럼 인디언들은 소수 민족으로

51

엄연히 존재하며 살아가고 있는
데도 어쨌든 그들은 멕시칸들,
흑인들, 혹은 아시아 사람 등 다
른 소수 민족 보다도 그 존재가
드러나 보이지 않습니다. 그 이
유는 많은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보호구역 내에 살고 있기 때문입
니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미국
에서 보호구역 안에 살고 있는
유일한 민족입니다. 이것은 미국
정부 측에 의해 인디언들을 “시
야에서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
다”(out of sight, out of mind)
라는 말이 적용되도록 하려는 의

52

도가 들어 있습니다.
인디언 학생인 다빌라(Ungelbah
Daniel-Davila)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는데, 이 상황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
다. 즉 “미국의 주요 미디어들은
과거 뿐만 아니라 현재도 인디언
들을 위한 것이든지 아니든지 그
들과 관계된 것은 모두 배제시키
고 언급 자체를 하지 않는다. 이
것은 사람들로 하여금 미국 원주
민들은 사라지고 있거나 사라진
인종이며, 그래서 존재하지도 않
는 사람들에 대해서 귀를 기울일

53

필요도, 관심을 가질 필요도 없
다는 잘못된 생각을 갖도록 하는
행위이다.”
본인은 인디언으로서, 인디언 사
회에서 기꺼이 자원봉사자로 일
해 왔기 때문에 인디언들이 존재
한다는 사실에 대해서 너무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인디언 부족들을 접촉할 기회가
없었거나 그들이 살고 있는 보호
구역을 방문할 기회가 없었던 일
반인들은 그들이 존재하고 있다
는 사실을 알 방법은 거의 없다
고 보이는데, 여기에는 다음과

54

같은 몇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과거 및 현재에도, 아메리카
인디언들에 대해서는 미국의 주
요 언론에서 거의 다루지 않는
다.
- 아메리카 인디언들이 살고 있
는 보호구역은 지리적으로 너무
멀고 격리되어 있다시피 되어 있
으며, 여러 웹 사이트에는 ‘지도
에도 잘 나타나지 않는’ 곳으로
되어 있다.
- 보호구역 내에 살고 있는 인디
언들은 그들 자신의 이슈를 미국

55

대중들에게 알리기가 어렵다.
- 많은 미국 학교들이 늘 비원주
민 관점(non-native viewpoint)
에서 역사를 가르쳐 왔고 지금도
그러하다. 그래서 이러한 역사에
서는 미국이 인디언들과의 관계
에서 만든 협약이나 보호구역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인디언들은 자신들을 ‘잊혀진 사람
들’(forgotten people)이라고 말하곤
합니다. 그들은 현재 분명히 존재하
고 있는데도,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들이 마치 존재하지 않은 것처럼 생

56

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 중
의 하나는, 위에서 한 인디언이 지적
했듯이, 미국 주요 언론들의 몫도 크
다고 여겨집니다. 그들은 인디언들에
관해서는 가급적 언급하지 않음으로
써 인디언들이 마치 과거에 살았던
인물들처럼만 사람들에게 기억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인디언들의 삶

아래는 널리 알려진 스쿠아미쉬

57

(Squamish) 인디언 부족의 추장 시
애틀 의 편지 글입니다. 1854년 미
국의 14대 대통령 피어스(Franklin
Pierce)가 이 인디언 부족에게 그들
의 땅을 팔고 미국 정부가 지정해준
퓨젓 사운드(Puget Sound) 만의 한
섬에 있는 보호구역으로 떠날 것을
요구했습니다. 이때 시애틀(Seattle)
은 그때까지 백인들이 행한 일들을
볼 때 자신들이 살던 땅을 팔지 않아
도 결국 어쩔 수 없이 정복당할 수
밖에 없을 것임을 알고서는 피어스
대통령에게 이 편지를 보낸 것입니
다. 본래 그의 이름은 세알트(Sealth)

58

인데, 미국 사람들이 발음하기 좋게
시애틀(Seattle)로 바꾸었습니다. 현
재 워싱턴주의 시애틀 시 이름은 이
추장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워싱턴 대추장(미국 대통령을 지
칭하는 말)이 우리 땅을 사고 싶
다는 전갈을 보내 왔다. 대추장은
우정과 선의의 말도 함께 보내
왔다. 그가 답례로 우리의 우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잘
알고 있으므로 이는 그로서는 불
친절한 일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대들의 제안을 진지하게 고려

59

해 볼 것이다. 우리가 땅을 팔지
않으면 백인이 총대를 들고 와서
우리의 땅을 빼앗을 것임을 우리
는 알고 있다.
그대들은 어떻게 저 하늘이나 땅
의 온기를 사고 팔 수 있는가?
우리로서는 이상한 생각이다. 공
기의 신선함과 반짝이는 물을 우
리가 소유하고 있지도 않은데 어
떻게 그대들에게 팔 수 있다는
말인가? 우리에게는 이 땅의 모
든 부분이 거룩하다. 빛나는 솔
잎, 모래 기슭, 어두운 숲속 안
개, 맑게 노래하는 온갖 벌레들,

60

이 모두가 우리의 기억과 경험
속에서는 신성한 것들이다. 나무
속에 흐르는 수액은 우리 홍인
(紅人)의 기억을 실어 나른다. 백
인들은 죽어서 별들 사이를 거닐
적에 그들이 태어난 곳을 망각해
버리지만, 우리가 죽어서도 이
아름다운 땅을 결코 잊지 못하는
것은 이것이 바로 우리 홍인의
어머니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땅
의 한 부분이고 땅은 우리의 한
부분이다. 향기로운 꽃은 우리의
자매이다. 사슴, 말, 큰 독수리,
이들은 우리의 형제들이다. 바위

61

산 꼭대기, 풀의 수액, 조랑말과
인간의 체온 모두가 한 가족이
다.
워싱턴의 대추장이 우리 땅을 사
고 싶다는 전갈을 보내 온 것은
곧 우리의 거의 모든 것을 달라
는 것과 같다. 대추장은 우리만
따로 편히 살 수 있도록 한 장소
를 마련해 주겠다고 한다. 그는
우리의 아버지가 되고 우리는 그
의 자식이 되는 것이다. 그러니
우리의 땅을 사겠다는 그대들의
제안을 잘 고려해 보겠지만, 우리
에게 있어 이 땅은 거룩한 것이

62

기에 그곳은 쉬운 일이 아니다.
개울과 강을 흐르는 이 반짝이는
물은 그저 물이 아니라 우리 조
상들의 피다.
만약 우리가 이 땅을 팔 경우에
는 이 땅이 거룩한 것이라는 사
실을 기억해 달라. 거룩할 뿐만
아니라, 호수의 맑은 물 속에 비
추인 신령스러운 모습들 하나 하
나가 우리네 삶의 일들과 기억들
을 이야기해 주고 있음을 아이들
에게 가르쳐야 한다. (중략)
당신들이 이 땅을 차지하게 될
때 이 땅의 기억을 지금처럼 마

63

음속에 간직해 달라. 온 힘을 다
해서, 온 마음을 다해서 그대들
의 아이들을 위해 이 땅을 지키
고 사랑해 달라. 하느님이 우리
모두를 사랑하듯이.
한가지 우리는 알고 있다. 우리
모두의 하느님은 하나라는 것을.
이 땅은 그에게 소중한 것이다.
백인들도 이 공통된 운명에서 벗
어날 수는 없다. 결국 우리는 한
형제임을 알게 되리라.

이 한국어 번역문은 <녹색평론 선
집 1>(김종철 엮음, 녹색평론사,

64

1933, 16~21쪽)에 실린 내용에서

발췌, 인용한 것입니다. 미국은 대한

민국의 약 100배(정확하게는 98배)

나 되는 넓은 땅으로, 본래 이곳에는

많은 인디언 부족들이 흩어져 살았으

며 각 인디언 부족끼리 서로 다른 면

도 많이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

들은 인디언의

집들이 모두 짐

승 가죽으로 만

든 원뿔 모양의

나바호 인디언 보호구역 근방 티피(tepee)로
의 한 인디언 유적지. 우파키

국립기념지(Wupatki National 만 된 것으로

Monument) 내에 위치해 있다.

돌과 흙을 이용하여 3층까지 알고 있는데, 실

정교하게 만든 주거지다. 이처

럼 인디언들의 주거지는 티피 65
만 있었던 것이 아니다.

제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티피는 미
국 중부 지역의 평원에서만 있었던
집 형태였습니다. 인디언 집은 티피
만 있었던 것이 아니라, 지역이나 부
족에 따라 풀로 만든 초막집, 나무로
만든 판자집, 나무 껍질로 지은 집,
흙집, 흙벽돌로 만든 여러 층으로 된
복합 집, 움막집 등 다양하게 있었습
니다.
그런데 그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
되는 특성이 있는데, 그것은 그들이
하나같이 자연주의자들이었다는 점입
니다. 그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었
고, 무소유의 삶을 살았습니다. 그들

66

자신조차 자연 속에 포함된, 자연과
일체적이라고 여겼으므로 자연의 그
무엇을 개인적으로 소유한다는 것은
그들로서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습니
다.
물론 기독교인인 우리는 인디언들의
이러한 자연관에 대해서 무조건 동조
할 수만은 없습니다. 그들은 자연숭
배와 정령신앙(애니미즘, animism)에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모든 자연 속에는 신성한 영이 들어
있다고 여기면서 자연을 신성시하며
숭상하였습니다. 그런데 이처럼 우리
는 그들에게서 비기독교적인 요소에

67

대해서는 분별해야 하겠지만, 자연
친화적이고 무소유적인 공동체 삶을
살았던 그들을 보면서 많은 것을 생
각해 볼 수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네 것, 내 것 구별하는 것부터 철저
히 배우는 서양인들의 개인소유주의
역시 성경적인 것은 아닙니다.

인디언의 달력

인디언들이 자연 친화적으로 살았다
는 사실은 그들 삶의 여러 형태에 잘

68

나타나 있습니다. 무엇보다 그들의
이름은 자연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늑대와 함께 춤’,
‘앉은 소’ 등입니다. 그리고 하나의
인디언 부족은 여러 클랜(clan, 씨족,
계파를 의미)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클랜은 늘 동식물 등 자연의 이름
을 빌어서 지어졌습니다. 예컨대, 호
피 인디언들의 경우에 곰 클랜(Bear
Clan), 오소리 클랜(Badger Clan),
선인장 클랜(Cactus Clan), 모래 클
랜(Sand Clan) 등이 있습니다.
인디언들의 자연 친화적인 삶은 특
히 그들의 달력 이름에도 잘 나타나

69

고 있습니다. 그들은 매 달의 이름을
자연의 흐름과 관련시켰으며, 때론
서정적이고 생활에 유익한 생각을 덧
붙여 이름을 정하기도 했습니다. 우
리도 1월, 2월, 3월... 식으로 달의 이
름을 부르기 보다는 인디언들처럼 자
연 친화적으로 달의 이름을 정해서
부르면 우리의 정서 함양에도 보다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
져봅니다. (인디언들은 서양의 백인들
과는 달리 동양 사람들처럼 달의 주
기를 기준으로 하는 음력을 사용하였
습니다.)

70

아래는 체로키 인디언 출신의 콘스
탄틴(Phil Konstantin)이 수집한 각
부족 별 달력 이름을 중심으로 하여
작성한 것으로, 수우족, 체로키족, 나
바호족, 호피족 것만 선별하였습니다.

1월

늑대들이 무리지어 달리는 달/수우

추운 달/체로키족
어린 독수리가 태어나는 달/나바호

인생이 절정에 달하는 달/호피족

71

2월

너구리(Racoon) 달/수우족
고기뼈를 먹는 달/체로키족
사슴뿔이 떨어지는 달/나바호족
깨끗하게 새롭게 되는 달/호피족

3월

버팔로 소가 새끼를 낳는 달/수우족
바람부는 달/체로키족
토끼가 새끼를 갖는 달/나바호족
바람이 속삭이며 부는 달/호피족

72

4월

푸른 풀이 나오는 달/수우족
꽃이 피는 달/체로키족
작은 잎들이 돋아나는 달/나바호족
바람을 막아야 하는 달/호피족

5월

말이 털갈이를 하는 달/수우족
식물을 심는 달/체로키족
꽃이 피어나는 달/나바호족
무언가를 기다리는 달/호피족

73

6월

푸른 풀이 자라는 달, 혹은 살찌는
달/수우족
푸른 옥수수의 달/체로키족
작은 씨들이 여무는 달/나바호족
식물을 심는 달/호피족

7월

산딸기가 익는 달/수우족
옥수수가 익는 달/체로키족
큰 씨들이 여무는 달/나바호족
어린 매의 달/호피족
8월

74

기러기가 깃털을 가는 달/수우족
건조한 달/체로키족
식물이 익어가는 달/나바호족
집에서 춤추는 달/호피족

9월

풀이 마르는 달, 혹은 송아지 털이
자라는 달/수우족
검은 나비의 달/체로키족
견과류를 추수하는 달/나바호족
기쁨의 달/호피족

75

10월

계절이 바뀌는 달/수우족
추수를 하는 달/체로키족
한해가 시작하는 달/나바호족(음력
을 지키기 때문입니다)
추수하는 달/호피족

11월

나뭇잎이 떨어지는 달/수우족
사냥하는 달/체로키족
추운 바람이 부는 달/나바호족
길게 머리를 내리는 달/호피족

76

12월

나뭇가지가 부러지는 달, 혹은 사슴
이 뿔을 가는 달/수우족
첫눈이 산에 떨어지는 달/체로키족
모카신을 만드는 달/나바호족
남을 존중하는 달/호피족

인디언 이름의 미국 주

미국의 50개 주 이름 가운데 인디
언 말에서 유래한 것이 절반이 넘는
27개 주(알래스카, 하와이 포함)나

77

됩니다. 이런 사실을 보면 미국 땅은
본래 인디언의 땅임을 새삼 느끼게
됩니다. 그리고 영어에 아름다운 모
음의 울림을 지닌 인디언 말이 섞이
게 되면 듣기에 좋은 음악적 효과를
낸다고 하는데, 그래서 많은 주의 이
름이 인디언 말에서 나왔다고 하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인디언 말에서
유래한 주 이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앨라바마 : 나는 밀림을 찾아냈다
는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일리노이 : 우수한 민족이라는 뜻
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78

* 캔터키 : 내일의 대지라는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메사츄세츠 : 큰 언덕이란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미주리 : 큰 카누의 마을이란 뜻
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오리건 : 아름다운 강이란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노스 다코타 : 친구라는 뜻의 인
디언 말에서 유래
* 사우스 다코타 : 친구라는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위스콘신 : 물이 모이는 곳이란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79

* 미시건 : 큰 호수란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미시시피 : 긴 강이란 뜻의 인디
언 말에서 유래
* 테네시 : 만남의 장소라는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와이오밍 : 대평원이란 뜻의 인디
언 말에서 유래
* 아리조나 : 작은 샘이란 뜻의 인
디언 말에서 유래
* 코네티컷 : 오랫동안 조수가 있는
해변이라는 인디언 말에서 유래
* 아이오와 : 아름다운 땅이란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80

* 미네소타 : 하늘빛 강물
(sky-tinted water) 뜻의 인디언 말
에서 유래
* 네브라스카 : 잔잔한 물결이란 뜻
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오하이오 : ‘크다’라는 뜻의 인디
언 말에서 유래
* 택사스 : ‘안녕 친구야’이란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알칸사스 : 물이 흘러내리는 곳이
란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아이다호 : 산의 보물이란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캔사스 : 남풍의 사람들이란 뜻의

81

인디언 말에서 유래
* 오클라호마 : 붉은 사람이란 뜻의
인디언 말에서 유래
* 유타 : 산 사람들이란 뜻의 인디
언 말에서 유래
* 알래스카 : 섬이 아닌 땅이란 뜻
의 원주민 말에서 유래
* 하와이 : ‘하와이 로아’라는 이곳
원주민 추장 이름에서 유래

그리고 ‘인디애나’라는 주 이름 자
체도 ‘인디언의 땅’이라는 뜻입니다.
이러한 주 이름 외에도 미국에는 인
디언 말에서 유래한 여러 지명들이

82

있습니다. 시카고(Chicago)는 ‘야생
마늘’(chicagoua)이라는 인디언어에
서 유래했습니다.
위스콘신주는 주 이름을 비롯하여
밀워키, 워케샤, 케노샤, 와우와토사,
메노모니 등 상당수의 시 이름이 인
디언 말입니다. 샌디에고(San Diego)
지역의 팔라, 포웨이, 시쿠안, 비에야
스, 자물, 하쿰바, 바로나 등의 지명
들도 인디언 말입니다.

호피 인디언 기우제

83

미국 아리조나주 사막 지대에 살고
있는 호피(Hopi) 인디언들이 기우제
를 지내면 반드시 비가 온다는 말이
전래되어 옵니다. 그 이유는 그들에
게 어떤 신비한 영험적인 것이 있어
서가 아니라, 그들은 비가 올 때까지
기우제를 지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

다.

호피 인디언들

이 거주하고 있

한 호피족 마을의 집 곁에 는 ‘호피 인디언

있는 옥수수 밭의 모습. 일반

인이 볼 때는 이런 데서 무 보호구역’은 ‘나

슨 열매가 나오겠는가 하고 바호 인디언 보
의아해 할 수 있지만, 호피족

사람들은 열매가 나올 때까

84지 끈질기게 노력한다.

호구역’ 내에 섬처럼 둘러 싸여져 있
습니다. 그들의 인구는 1만명을 조금
넘어섭니다. 호피 인디언들은 실제로
2월부터 7월까지 거의 매 주말마다
기우제 성격의 춤을 춥니다. 큰 춤이
있을 때에는 호피 지역 내의 교회를
잘 다니는 교인들까지도 모두 그곳으
로 가는 바람에 주일 예배 시간에 교
인이 거의 아무도 없을 때도 있습니
다.
이 호피 지역은 고도가 약 7천 피
트(2100m)에 이르는, 고원지대에 평
평하게 솟아 있는 산(이를 ‘메
사’-mesa라고 합니다) 위에 위치해

85

있으면서 또한 사막지대에 속합니다.
사막지대는 일년 강우량이 10인치
(25센티) 이하인 지역을 말합니다.
실제로 제가 이 지역을 지나가면서
호피족이 옥수수, 콩, 호박 등의 농작
물을 기르는 모습을 보며 안타까워
할 때가 많았습니다. 그러면서도 식
물이 도무지 자랄 것 같지 않은 이
사막 지역에서 그들이 씨앗을 심고
그것이 성장하여 열매를 맺을 것이라
고 기대하면서 기다리는 것을 보면,
그들의 끈기와 인내가 참 대단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습니다. 더욱이 그
들은 비가 오면 그 한 방울의 빗물도

86

버리지 않고 용기(그릇)에 잘 담아
두었다가 농작물을 키우는데 사용합
니다. 이처럼 그들은 거의 모든 것이
절망적이고 불가능해 보이는 상황에
서도 결코 무너지지 않고 가능성을
찾는 불굴의 정신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교수인 고영건은 <인디언
기우제>라는 제목의 책을 출간했는
데, 그는 이 책의 프롤로그에서 ‘도대
체 누가, 왜 성공하고 실패하는가’라
고 하면서 ‘그랜트 스터디’(Grant
Study)를 소개했습니다. 이 연구는

87

하버드대가 성공할 만한 조건을 고루
갖춘 졸업생 268명을 뽑아 그들의
졸업 이후 60여 년의 삶을 추적한
것으로, 그 결과 졸업생의 30%는 성
공적 삶을, 다른 30%는 실패한 삶을,
나머지 40%는 평범한 삶을 살았다는
사실을 파악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 저자에 따르면, 성공한 30%의 졸
업생들은 공통적으로 ‘인디언 기우제’
처럼 포기하지 않는 삶의 자세를 가
지고 있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그는 이 책에서 이러한 인디언 기우
제와 같은 불굴의 정신을 가지고 성
공했다는 15명의 사람들을 열거했습

88

니다.

그리고 이 호피 인디언의 기우제를
또 다른 측면에서 눈여겨 본 사람이
있었습니다. 미국의 사회학자 머튼
(Robert K. Merton, 1910–2003) 입
니다. 그는 호피 인디언 보호구역에
서 직접 생활하면서 관찰한 결과 어
떤 특별한 사실을 알게 됩니다. 그들
에게 있어서 기우제는 비가 오도록
기구하는 목적도 있으면서 또한 이를
통해서 부족민 전체를 단합시키는 효
과도 있음을 보았던 것입니다. 이러
한 사실에 기초하여, 그는 이 호피족

89

기우제에는 ‘명시적 기능’(manifest
function)과 ‘잠재적 기능’(latent
function)이 있다고 했습니다. 즉 기
우제에서 그들이 비를 오도록 기구하
는 것은 명시적 기능이며, 이를 통해
그들이 집단의식과 단결을 갖게 되는
것은 잠재적 기능이라는 것입니다.
명시적 기능은 의도한 것을 말하며,
잠재적 기능은 의도하지 않았는데도
결과적으로 있게 되는 것을 말합니
다. 이처럼 그는 모든 사회적 제도와
행위에는 명시적 기능과 잠재적 기능
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때론 명시
적 기능보다 잠재적 기능이 더 중요

90

할 수 있습니다.)
그의 이같은 주장은 오늘날 교육학
에도 적용되기도 합니다. 학교에서
선생님이 수업 시간에 공부를 시키는
것은 명시적 기능이지만, 이 수업에
서 얻게 되는 것은 단지 이것뿐만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선생님들의 아이
들에 대한 사랑, 그리고 학생들 간의
우정이나 단합 등이 수업 시간을 통
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잠재적 기능이라는 것입니다.

이 기우제는 호피족의 역사와도 관
계가 깊습니다. 그들은 외부로부터

91

많은 침공을 받으면서도 강한 단결력
을 통해서 이를 극복해 왔습니다. ‘호
피’란 ‘평화로운 사람들’이란 뜻인데,
실제로 그들은 평화를 추구하던 사람
들입니다. 그런데 1540년 스페인 탐
험대가 서양인으로서는 처음으로 금
을 찾기 위해서 이곳까지 찾아옵니
다. 그리고 1592년 스페인의 카톨릭
사제들이 도착하여 수십년 동안 거주
하면서 이곳 호피족의 전통 종교를
무너뜨리고 카톨릭을 믿도록 하기 위
해 많은 힘을 썼습니다. 이때 호피인
들은 이 스페인 사람들과 접촉하면서
천연두 등의 전염병으로 인해 많이

92

죽기도 합니다.
그 이후 1600년대 말에 호피족은
인접해 있던 나바호족으로 인해 또한
큰 고통을 당하게 됩니다. 나바호족
역시 스페인의 침공을 받자 이를 피
해 호피족 땅으로 진입해 들어가면서
그들에게 피해를 주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1824년 멕시코가 스페인으로
부터 독립하면서 북아메리카 내의 모
든 스페인 땅이 멕시코에 속하게 되
자, 호피 지역은 이제 멕시코의 지배
를 받게 됩니다. 그러다가 1848년
미국이 멕시코와의 전쟁에서 승리하
면서 이 땅은 미국의 지배 아래로 들

93

어가게 됩니다. 호피족의 시련은 그
이후에도 계속되었습니다. 많은 미국
백인들이 그들의 땅을 차지하기 위해
찾아 왔으며 미국 정부는 그들의 전
통 종교와 문화를 제거하고자 했습니
다. 특히 호피족 아이들을 강제로 머
리를 깎게 하여 기숙학교에 넣어서
미국식 교육을 받게 하는 등의 일을
행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를 반대
하는 추장을 포함하여 19명의 호피
족 지도자들은 캘리포니아의 알카트
라즈 섬으로 끌려가게 되는데, 이 사
실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다룰
것입니다.) 현재 그들의 땅은 본래

94

땅의 9%에 지나지 않습니다.
이러한 계속되는 거친 역사의 소용
돌이 속에서, 그리고 비가 거의 오지
않는 열악한 환경 조건에서, 호피족
을 지금까지 생존하고 유지되도록 해
주었던 것은 그들의 기우제였습니다.
그런 극한 상황에서도 그들 남녀노소
모두는 기우제를 통하여 이를 극복해
내는 끈기와 인내를 가졌고, 강한 결
속과 연합을 이루어 나간 것입니다.

성경에는 엘리야가 3년 6개월 동안
비가 오지 않던 이스라엘에 비가 내
리도록 갈멜산에 올라가 기도를 드리

95

는 내용이 나옵니다. 물론 호피족이
기우제를 지내는 것과는 달리 그는
하나님께 기도로써 비가 내리기를 구
했습니다. 그러자 마침내 작은 구름
이 떠오르더니 이내 큰 비가 되어 내
렸습니다. 엘리야의 끈질긴 기도의
결과였습니다(왕상 18:41-46).
또한 예수님은 누가복음 18장에서
한 과부와 재판관의 비유를 통해 우
리가 끈질긴 기도를 해야 한다는 사
실을 비유로 가르치셨습니다. “항상
기도하고 낙망치 말아야 될 것을 저
희에게 비유로 하여... 하물며 하나님
께서 그 밤낮 부르짖는 택하신 자들

96

의 원한을 풀어 주지 아니하시겠느냐
저희에게 오래 참으시겠느냐 내가 너
희에게 이르노니 속히 그 원한을 풀
어 주시리라 그러나 인자가 올 때에
세상에서 믿음을 보겠느냐 하시니
라”(눅 18:1-8).
믿음을 갖고 있지 않은 호피족도 비
가 올 때까지 끈질기게 기우제를 지
내는데, 믿음이 있다고 하는 우리 신
자들은 기도가 어떠해야 하며 또한
기도의 능력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다
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됩니다. 물론
우리 신자의 기도는 호피족처럼 기우
제도 아니고, 그리고 세상적인 번영

97

이나 성공을 위한 것도 아닙니다. 우
리 신자는 오직 하나님의 나라가 이
땅에 임하는 일을 두고 끝까지 끈질
기게 기도해야 할 것입니다. 예수님
이 누가복음 18장에서 가르치신 기
도도 바로 이런 것이었습니다.

시튼과 인디언

1860년에 출생하여 1946년에 사망
한 어니스트 시튼(Ernest Thompson
Seton)은 세계적인 동물학자, 유명한

98

화가였으며, 환경 운동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영국에서 태어난
그는 5살 때 캐나다로 이주하여 광활
한 자연과 야생 동물들을 벗삼아 성
장하였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그는
자연스럽게 그곳 인디언들과도 친숙
하게 지냈으며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
는 그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를 배우
기도 했습니다. 인디언들을 거의 사
람으로 취급하지 않았던 당시 백인들
사회 분위기 속에서 어린 시튼이 그
들과 친분을 가지면서 잘 지냈다는
것은 정말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습
니다.

99

훗날 그는 인디언에 대한 차별 금
지와 보호를 외쳤으며 이로 인해 백
인들로부터 많은 미움을 사기도 했습
니다. 1910년에 그는 미국 보이 스카
우트 협회를 창설하였으며 이 보이
스카우트에 자연을 사랑한 인디언의
생활 방식을 적용시키는 일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리고 그는 <인디언 영혼의 노래>
이라는 책을 남겼는데, 이 책에서 그
는 북아메리카 인디언이야말로 인류
역사상 가장 훌륭한 종족이라고 극찬
하고 있습니다. 그는 “그들이 보여주

100


Click to View FlipBook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