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ords you are searching are inside this book. To get more targeted content, please make full-text search by clicking here.

사단법인 무대음향협회 충청지부 소식을 전합니다.

Discover the best professional documents and content resources in AnyFlip Document Base.
Search
Published by jaenysung, 2019-05-29 10:06:39

2019년 5월 제14호 사)무대음향협회 충청지부 소식지

사단법인 무대음향협회 충청지부 소식을 전합니다.

Keywords: 무대음향협회,충청지부,무대음향,음향감독,스피커,마이크,공연 음향,콘서트,위상,스피커 얼라인먼트,측정,스피커 측정,스피커 시스템,스피커 튜닝,천안시신부문화회관,신재영 감독,신재영,대전시립연정국악원,정우영 감독,진향음향,김병운

(사)무대음향협회 Theater Sound Magazine 2019년 5월 / 통권 14호

충청지부 소식지 Vol. 14

만남 그리고 이야기

천안시 신부문화회관 신재영 감독을 만나다

쪽지 글

앞으로 또 1년 소식지로 협회 발전 기대해

기획 특집

2019년 Prolight+sound Guangzhou

음향기술이야기

여러 대 스피커들의 얼라인먼트 방법 II

천안시 신부문화회관 전경

협찬 :

중앙회 (사)무대음향협회

2019년 (사)무대음향협회 제2차 이사회 개최 2019년 제2차 이사회를 진행하고 있다.

■일 시 : 2019년 4월8일(월) 19:00
■장 소 : 서울역 회의실
■참 석 자 : 도명호 이사장, 서상운 이사, 최준회 이사,

성재훈 이사, 조일웅 이사, 유승호 이사,
이기범 이사, 구종회 이사, 김대진 사업국장,
김태성 사무국장, 이창영 실장

2019년 제2차 이사회 안건을 검토하고 있는 이사들

■안 건

1) (사) 무대음향협회 신입회원 인준 및 탈회, 제명 건

① 신입회원

NO/지부 성명 자격증 소속 경력
1/대경 김창우 3급 프리랜서 케이원 사운드 6년, 대상미디어 2년
2/경인 홍승기 3급 수원문화재단
3/경인 조다원 3급 경기도문화의전당 성남야외공연장 외 8년
4/경인 이신형 3급 김포문화재단
5/부울경 남송지 3급 김해문화의전당 서울시청 청사 외 4년
김해문화의전당 1년

② 탈퇴회원 총 6명

2) 보고 사항

① 제1호 보고: 사)무대음향혀회 상반기 지부별 기술세미나 결과보고

② 제2호 보고: Prooight+Sound Guangzhou 2019 전시회 초청 세미나 결과보고

③ 제3호 보고: 사)무대음향협회 홈페이지 개편사항 보고

④ 제4호 보고: 국제음향·영상산업전 2019(KOSOUND+STAGETECH 2019) 준비 진행사항 보고

⑤ 제5호 보고: 코사운드 홈페이지 도메인 사용 관려사항 보고

⑥ 제6호 보고: 국제음향·영상산업전 2019 (KOSOUND+STAGETECH 2019) 설명회 개최

- 일시: 2019년 4월 11일 15시

- 장소: 대학로 사)한국뮤지컬협회 대강당

2019년 05월 제14호 02

(사)무대음향협회

만남 그리고 이야기

천안시 신부문화회관 신재영 음향감독

(사)무대음향협회

만남 그리고 이야기에서는 지부회원을 직접 만나 회원들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고, 공연장을 소개하는 내용이 담깁니다.
열 네번째 회원은 천안시 신부문화회관 신재영 감독입니다. ^^
FOH 공사를 마치고 바쁘게 정리하던 중 취재진을 맞아준 신재영 감독과의 인터뷰 현장으로 함께 가 보시죠.

본인 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천안시 신부문화회관에서 음향감독으로 근무하고 있는 신재영입니다.
2001년 레코딩 엔지니어가 되고 싶어 공부하던 중 우연한 기회에 서울 상계 미도파 백화점 공연장에서 일하게 되면서 공
연장과 인연을 맺게 되었습니다. 그 후 음향 렌탈회사에서 1년 정도 근무하다가 자격증 취득 후 아산시 올림픽 기념관을
시작으로 천안시청 봉서홀, 성환문화회관을 거쳐 2015년부터 신부문화회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천안시 신부문화회관 소개와 주로 어떤 공연이 이루어지는지 말씀해 주세요.

천안시 신부문화회관은 준공 된 지 30년이 넘은 노후 된 공연장입니다. 884석 대공연장과 200석 소공연장, 그리고 전시실
3개관을 운영 중입니다. 개관 초기에는 천안시민회관이라는 명칭으로 천안시 유일한 대형 공연장이라 콘서트 및 클래식 연
주, 뮤지컬 등 수많은 공연과 전시가 진행되었습니다. 하지만 그 후 많은 공연장이 개관하고 공연장 시설이 타 공연장에 비
해 뒤처지다 보니 지금은 공공부문 교육이나 기념식, 어린이 뮤지컬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1,000석 가까운 규모에 단층
으로 이루어진 객석이라 클래식 연주하시는 분들이 많이 선호하는 공연장이었으나, 재작년 안전문제로 인해 음향 반사판을
철거한 이후로는 클래식 관련 공연이 많이 줄었습니다.

2019년 05월 제14호 객석에서 바라본 무대

04

(사)무대음향협회

천안시 신부문화회관 음향시스템은 어떻게 메인 콘솔 SOUNDCRAFT사의 SI IMPACT
구성되어 있는지 말씀해 주세요.

메인 콘솔은 FOH/음향실 각각 SOUNDCRAFT사의
SI IMPACT 콘솔을 사용하고 있으며, 메인 스피커로는
소비코의 SAC DNL-15 포인트 소스 스피커가 좌우 각
2EA씩, SAC DNL-118S 서브우퍼 스피커가 각 1EA
씩 설치되어있습니다. 프런트 필로 JBL PRX-812W
를 2EA 사용 중이며, 무대 모니터 스피커로 MACKIE
THUMP 12를 4EA 사용 중입니다. 무선마이크는
SHURE사의 QLX D-8채널, ULX P-4채널 사용하고
있습니다.

음향감독이라는 직업을 선택하게 된 계기는 무엇 메인 스피커 SAC DNL-15 2EA, 서브우퍼 SAC DNL-118S 1EA,
이며, 이 직업의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프런트 필 JBL PRX-812W 1EA

어려서부터 유독 전자기기나 기계 쪽으로 관심이 많았습니다.
대학교 때 밴드 동아리 가입 후 기타를 배우는데 정작 기타연
주보다는 이펙터나 앰프 등 관련 장비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되
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레코딩분야에 자연스레 눈길이 가게
되었고, 제대 후 우연히 본 음향잡지에 레코딩 엔지니어라는
직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순간 이걸 꼭 해보고 싶
다는 생각이 들어 무작정 서울에 있는 관련 교육기관에 등록
하고 공부하던 중 얼마 되지 않아 우연한 기회에 공연장에서
일하게 되면서 공연장 음향감독이라는 직업에 매력을 느껴 시
작하게 되었습니다. 공연장에 수많은 관객이 내가 컨트롤 하
는 소리를 듣고 있다는 사실이 묘한 자부심과 희열을 느끼게
하는 것 같습니다. 무사히 공연을 마치고 관객이나 공연 관계
자가 음향적으로 만족감을 표시하면 정말 뿌듯함을 느낄 수
있는 것도 이 직업의 장점일 겁니다.
다만 공연 중 예상하지도 못한 돌발 상황이나 뜻하지 않은 장
비 에러로 공연이 엉망이 되면 정말 명이 단축(?)되는 느낌이
든다는 것이 단점이기도 하겠지요.^^

공연 준비와 진행 과정에서 어려운 점은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하시는지 말씀해 주세요.

우선 공연장 시설이 노후 되어 공연자 측이 원하는 인프라를 제공해 주지 못할 때 개인적으로도 굉장히 속상합니다.
또한, 인력이 부족하여 혼자 무대와 음향실을 오가며 시간에 쫓겨 세팅하다 보니 막상 공연 때 보면 놓친 부분이 많아 아
쉬울 때가 있습니다.

2019년 05월 제14호 05

(사)무대음향협회

신재영 음향감독

일단 사전에 충분히 공연자 측과 협의를 하여 도저히 공연 공연을 준비하며 즐겨 듣는 음악이나 레퍼런스
장 쪽에서 제공해 줄 수 없는 부분은 다른 방법을 찾아보는 음반이 있으신가요?
등 절충안을 찾아 최대한 공연에 지장이 없게 하려고 노력
하는 편입니다. 일반적으로 믹싱이 잘되었다고 알려진 FOURPLAY 음악
을 주로 많이 사용합니다. 그 외에는 그냥 제가 많이 듣고
공연 중 난감했던 상황이나 웃지 못할 에피소 좋아하는 봄여름가을겨울의 GEKO FUNK나 이글스 음악
드가 있으면 말씀해 주세요. 도 가끔 사용합니다.

예전에 공연 시작 10분 전쯤에 콘솔 파워 서플라이에 문제 음향 관련 직업을 꿈꾸는 이들에게 한 말씀 부
가 생겨 콘솔작동이 안 된 적이 있습니다. 다행히 사용 채 탁드립니다.
널 수가 많은 공연이 아니라 다른 장소에 설치되어있던 소
형 믹서를 가져와 급하게 공연을 진행하였는데 공연시간 대부분의 감독님께서도 마찬가지이겠지만 저 역시도 이일
10분 정도는 패닝이나 레벨이 엉망이었습니다. 다행히도 이 너무 좋아서 시작했음에도 가끔 너무 어려운 분야라는
관객은 눈치 못 채고 공연을 무사히 마쳤습니다.^^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관련 분야를 꾸준히 공부하고, 또
그 외에도 다른 감독님들께서도 경험하셨던 것처럼 무선마 경험도 많이 하다 보면 돌발 상황마저도 두려워하지 않고
이크 배터리가 갑자기 나간다거나, 마이크 하단 부분을 잡 대처할 수 있는 내공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
고 사용하는 바람에 RF신호가 요동치는 상황에서 마음 졸 다 꾸준한 노력이 가장 필요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이며 공연한 적도 많습니다.

2019년 05월 제14호 06

(사)무대음향협회

우리 협회 또는 충청지부가 앞으로 회원들을 위 무대에서 바라본 객석
해 어떤 노력을 해주면 좋겠는지 그리고 자신이
지부와 함께하고 싶은 계획을 말씀해 주세요. 07

일정들로 인해 자주 참석을 못 해 아쉽지만 스터디나 세미
나가 자주 있어서 좋은 것 같습니다. 특히 감독님들께서 직
접 강연하실 때 본인들만의 노하우나 경험담은 일하면서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일정을 조율해서라
도 자주 참석을 하려고 합니다.

앞으로 계획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지난주(4월 19일)에 우여곡절 끝에 대공연장 FOH공사를
마쳤습니다. 의외로 놓친 부분도 많고 더 보완해야 할 부분
도 있어서 아쉽지만 일단 테스트와 실제 공연 진행을 통해
서 보완점을 찾고 관련 공부를 꾸준히 해서 시스템 안정화
와 최적화를 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2019년 05월 제14호

(사)무대음향협회

천안시 신부문화회관 건축음향 측정값 분석

지난 2019년 4월 20일 천안시 신부문화회관 대극장(884석)에서
피스톨을 이용해 건축음향을 측정하였고, Arta v1.8.5, EASERA,
REW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측정 데이터는 1층 객석 가운데를 기준으로 좌측 세로 2 지점(다-
101, 다-191)을 측정하여 두 값을 평균하였다.

잔향시간 500Hz에서 T30은 1.44초, 초기감쇠시간(EDT)은 1.57초
로 나타났다. 두 지점의 잔향시간(T30, T20, T10, EDT)을 모두 평
균하여 1.47초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챔버 음악 홀이나, 오페라 하
우스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명료도 C80은 125Hz ~ 8kHz까지 1 옥타브 8밴드 중 63Hz를 천안시 신부문화회관 대극장 1층 객석 측정 두 지점
뺀 7 밴드를 평균하였고, 1.41dB로 나타났다. 이 값은 클래식음악
공연에 적합한 값이다.
음성명료도 D50은 41.11%로 다목적 홀에 적합한 값이다.
음성과 음악명료도에 사용되는 시간중심 Ts값은 100.53ms로 나타
나 음성보다 음악에 적합한 값으로 나타났다.
음성전달명료도 STI는 0.51로 나타나 Fair(보통)로 평가할 수 있다.
연극이나, 강연과 같은 행사에 목소리가 전달될 때 ‘Fair’로 명료함
이 보통으로 전달되는 수준이라 하겠다.

저음비는 1.13로 음악에 적합한 값으로 나타났다. 천안시 신부문화회관 대극장 측정 모습

측정 결과 플루터 에코와 같은 음향 장해 현상은 없었고, 잔향값과명료도, 저음비 모두 챔버 음악 홀, 오페라 하우스에 적
합한 값으로 나타났다.

빨강 : ①:다-101 지점 임펄스 응답 특성 파랑 : ②:다-191 지점 임펄스 응답 특성

빨강 : ①:다-101 지점 ETC 응답 특성 파랑 : ②:다-191 지점 ETC 응답 특성

2019년 05월 제14호 08

(사)무대음향협회

천안시 신부문화회관 건축음향 측정값 분석

빨강 : ①:다-101 지점 Waterfall 파랑 : ②:다-191 지점 Waterfall

1층 객석 두 지점 T30 비교 1층 객석 두 지점 EDT 초기감쇠시간 비교

1층 객석 두 지점 C80 음악명료도 비교 1층 객석 두 지점 D50 음성명료도 비교

주파수 T30(s) EDT(s) 잔향값 명료도 C80(dB) D50(%) Ts(ms) STI BR
1.44 1.57 (평균) 1.41 41.11 (저음비)
500Hz 100.53 0.51
적합성 1.47 1.13
음악 보통
챔버 음악 홀, 오페라 하우스 클래식음악 다목적 홀 음악

천안시 신부문화회관 건축음향 측정 데이터 결과

2019년 05월 제14호 09

(사)무대음향협회

prolight+sound&Guangzhou를 다녀오다 II

김병운(진향음향)

2019년 2월 25일 8시 30분 출발 그리고 2월 27일 1시 50분 귀국.
27일 일정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짧고 굵게 다녀오기로 했다. 이번에는 여행사나 메쎄를 통하지 않고, 비자부터 숙소까지
직접 해결하기로 했다. 광저우에서 살던 옛 직원이 있었기에 가능할 수 있었던 도전이었다. 택시부터, 버스, 지하철까지
광저우에서 대중교통을 다 이용해 볼 수 있었다.

prolight+sound&Guangzhou 첫째 날 저녁

첫째 날, 관람 후 저녁을 먹으러 택시를 타고 이동하였는데 역시나 목적지에서 한참이나 다른 곳에 내려 주는 바람에 우연
히 산책하게 된 공원입니다. 이 공원을 가로질러가며 야경도 구경하고 지하차도로 가며 먹거리며 잡화점 등을 구경하였습
니다. 살짝이 보슬비가 내려서인지 안개인지 미세먼지인지 건물들의 꼭대기가 안 보였답니다.

식사 후 숙소로 돌아오는 길은 지하철을 이용하기로 했답니다.
지하철이 깨끗하니 잘 되어있습니다. 사람은 많더군요.

prolight+sound&Guangzhou 시연회 현장

둘째 날의 시작은 소리 시연하는 곳에서부터 출발.
이렇게 시연하는 곳이 총 4곳이 있었습니다. 저희는 3곳만 보고 1곳은 가지 못했습니다.
4곳 중에서 여기만(prolight+sound&Guangzhou 시연회 현장 I) 스테레오로 사운드 시연하고, 다른 곳은 모노로 시연했습니다.
1/9 ADAMSON, 2/10 AXIOM, 3/11 EV, 4/12 EM, 5/13 ENEWAVE, 6/14 hd, 7/15 SE, 8/16 TW 입니다.

2019년 05월 제14호 10

(사)무대음향협회

prolight+sound&Guangzhou 시연회 현장 I

prolight+sound&Guangzhou 시연회 현장 II - 중국 자체 브랜드들이 대다수인 것 같습니다.

prolight+sound&Guangzhou 시연회 현장 III - YME 도 있습니다.

2019년 05월 제14호 11

2층 전시홀 (사)무대음향협회

2층 전시홀에서는 국내에서 볼 수 있는 다수의 브랜드 제품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외 음향 기자재

다용도 멀티탭 알루미늄 랙

2중 앰프랙 FLYING RACK 케이스 일체형 스피커

2019년 05월 제14케호이스 일체형 믹스 케이스 판매 부스 12

조명 전시관 (사)무대음향협회

잠시 들린 조명전시관에는 조명과 레이저로 화려하게 전시되어 있습니다. 눈으로 전시되는 곳이라 볼거리는 많습니다.

예쁜 트러스 구조물

화려한 레이저 춤추는 전등

사람이 서 있는 곳이 문처럼 뚫려 있습니다. 그 뒤쪽도 LED로 세워져 있고요. 그래서 입체적 느낌이 나는데요.
너무 자연스러웠답니다. 그리고 중앙에 있는 하트도 LED랍니다.

이렇게 2019 prolight+sound&Guangzhou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시간이 너무 촉박한 관계로 악기관과 영상관 쪽
은 한 번도 가보질 못했습니다. 돌아다닌다고 정신이 없어서 많은 사진을 찍진 못한 것 같네요. 첫째 날은 돌아다닌
다고 정신이 없었고, 둘째 날은 소리 시연을 듣다 보니 시간이 다 가더군요. 역시 중국은 넓고 시장은 엄청 났습니다.
지난호와 이번호 소식지를 통해 생생한 현장을 전하려고 했는데요. 회원분들께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2019년 05월 제14호 13

(사)무대음향협회

앞으로 또 1년 소식지로 협회 발전 기대해

성재훈(사단법인 무대음향협회 충청지부장)

2019년 5월은 사)무대음향협회 충청지부 소식지를 1주기 하고도 첫 달을 맞는 달이다. 그동안 돌
아보면 많은 일이 있었다. 그리고 참 바쁘고, 빠르게 지나갔다. 소식지를 통해 매달 충청지부 회
원들을 한 사람 한 사람 직접 만나 식사도하고 대화도하고 공연장도 구경했다. 건축음향도 측정
하고, 보고서도 작성하고, 좋은 자료도 남기고 즐거운 시간으로 추억 된다. 소식지가 아니었다면
굳이 각 지역을 다니며 회원들 얼굴을 볼 수 있었을까? 1년 동안 13명의 회원과 함께 했다. 앞
으로 또 1년 행복한 교제와 만남이 기대된다.

그동안 소식지는 PDF를 통해 온라인으로 발행했다. 충청지부 회원 뿐 아니라 협회 회원 그리고 SNS를 통해 일반인에게
도 공개됐다. 그래서 나름 신중하게 제작에 힘썼다. 때론 삽화, 내용, 저작권, 공개 수위 등 여간 신경이 쓰이지 않았다.
글쓰기를 전문으로 했던 우리들이 아니었기에 더욱 신경 쓴다고 쓴 것이 가끔은 의도와 다르게 표현이 되기도 하고 서
툴 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시도가 주변 지인들에게 좋은 반응으로 격려와 응원으로 힘을 주었다. 그리고 음향감독을 꿈
꾸는 후배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만남 그리고 이야기’ 코너는 진실 된 그들의 이야기가 자신들이 음
향감독이 되기 위한 좋은 지침이 되기도 해 매달 기다려진다는 이야기도 듣기도 했다. 그리고 ‘기술이야기’ 코너는 음향
감독이 현장에서 직접 겪어보고 자신들의 노하우를 정리해 놓은 거라 더욱 의미가 컸고, 정보가 필요했던 주변 감독들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고마워했다. 이렇게 회원들이 정리해 놓은 좋은 자료는 앞으로 극장 음향 자료집으로 엮어 더욱
많은 이들에게 배포할 계획이다. 가까운 일본이나 미국, 유럽에는 현장 음향 엔지니어들이 직접 작성한 자료가 많다고
하는데 우리도 이번 기회를 통해 좀 더 확대해서 사단법인 무대음향협회 회원 전체가 동참할 수 있도록 충청지부부터가
분위기 조성에 힘써야겠다. 자료와 정보는 그 단체의 전통과 역사 깊이를 가늠 하는데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 사단법인
무대음향협회도 이제 창립 30돌을 앞두고 있다. 좋은 자료와 정보를 생산하고 관리해 더욱 발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돌이켜 보면 한 달 한 달이 적지 않은 스트레스로 다가왔다. 매달 자료를 넘겨받아 단 하루도 밀리지 않고 정확하게 발행
할 수 있도록 노력 해 준 윤보라 편집위원과 소식지를 위해 아낌없는 지원과 응원을 서슴지 않은 주영천 총무, 제작에 큰
힘이 되어준 이태진 친교팀장, 무엇보다 기술이야기 코너를 위해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는 기술자료 집필진 김지탁,
김수민, 이수임, 정우영 회원, 그리고 ‘만남 그리고 이야기’ 주인공으로 극장 공개와 인터뷰를 흔쾌히 응해준 13명의 충
청지부 회원들에게 감사를 드린다. 또한 이러한 소식지를 매달 기다려 정독해주는 충청지부 회원들과 사단법인 무대음
향협회 회원들에게 깊은 감사와 고마움을 전한다. 앞으로도 아낌없는 응원과 지원을 부탁한다.

2019년 05월 제14호 14

(사)무대음향협회

여러 대 스피커들의 얼라인먼트 방법 II

성재훈(대전예술의전당 음향감독)

이번 호에는 지난 호에 이어 스피커 튜닝 시 필요한 두 스피커 간 얼라인먼트를 효과적으로 맞출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본다.
메인 스피커와 서브 우퍼 간 얼라인먼트 혹은 프런트 필 스피커, 언더 발코니 스피커 등 보조 스피커 설치에서 반드시 필
요한 얼라인먼트를 몇 가지 대표적인 설치 사례를 통해 알아보자.

4. 서브우퍼 스피커와 풀 레인지 스피커 위상 결합

4.1. 플라잉 서브우퍼 얼라인먼트

주파수 파장이 긴 서브우퍼는 풀 레인지 스피커와 얼라인먼트를 위해 측정된 위상 곡선을 읽고 어떻게 할 것인지 결정해
야 한다. [그림4.1]은 서브우퍼가 풀 레인지 스피커 뒤에 매달린 경우이다. 풀 레인지 스피커에 서브우퍼 간 위상차(시간
차) 만큼 딜레이 값을 적용하여 해결 한다. 그럼 얼마만큼의 딜레이 값을 산출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

[그림4.1] 풀 레인지 스피커 뒤에 서브우퍼가 위치한 경우 [그림4.2] 풀 레인지 스피커와 1.5m 뒤에 플라잉된 서브우퍼 스피커

[그림4.3]은 풀 레인지와 서브우퍼의 주파수 응답 특성과 위 [그림4.3] 서브우퍼 크로스오버 주파수 위상각 편차에 따른 시간 산출 방법
상 특성을 오버레이 했다. 크로스오버 주파수는 120Hz이며,
두 위상각의 편차는 181.7도이다. 이 값을 근거로 두 위상각 15
의 편차를 시간으로 구할 수 있다. [식1]에 의해 계산된 값은
4.21ms이다. 따라서 풀 레인지 스피커에 4.21ms를 적용시
키면 [그림4.4]와 같이 크로스오버 주파수 120Hz에서 두 음
의 합이 일어나 +6dB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4.4]는
풀 레인지 스피커에 4.21ms를 적용하기 전과 후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다.

2019년 05월 제14호

(사)무대음향협회

a. 얼라이먼트 전 b. 얼라이먼트 후

[그림4.4] 서브우퍼 크로스오버 주파수 얼라인먼트 전 후 특성 비교 [그림4.5] 3 지점 얼라인먼트 전 후 비교 125Hz

[그림4.5]는 풀 레인지 스피커와 서브우퍼의 얼라인먼트를 맞추기 전과 후의 125Hz의 방사 특성이다. [그림4.5a]는 두 음
원의 시간차가 4.21ms의 위상차로 발생된 주파수 간섭에 의해 감쇠된 방사 특성이다. [그림4.5b]는 두 음원의 시간차를
보정하여 위상차를 일치 시킨 후 두 에너지 합성에 의해 증가된 방사 특성이다.

[그림4.6]은 측정 지점별 주파수 응답 특성이다.

[그림4.6a]는 120Hz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얼

라인먼트 맞추기 전 특성이다. 120Hz에서 위

상차 4.21ms, 181.7도 위상차에 의해 두 음의

합이 -(마이너스)로 감쇠됨을 나타내고 있다.

4.21ms로 인해 객석 전체에 음질에 악영향을

끼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나타낸다. 그러나 [그 a. 얼라이먼트 전 b. 얼라이먼트 후
림4.6b]는 풀 레인지에 4.21ms를 지연시켜 서
브우퍼와 위상 일치를 시킨 후 모든 객석에서 에 [그림4.6] 객석 지점별 주파수 응답 특성 비교

너지 증가 현상이 일어나 객석 전체 음질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4.2. 스택(stack) 서브우퍼 얼라인먼트

[그림4.7]은 서브우퍼가 풀 레인지 스피커 아래 바닥에 스택된 경우다. 풀 레인지 스피커와 서브우퍼 간 위상차(시간차)가
얼마만큼 어디에 딜레이 값을 적용시켜야할지 알아보자.

[그림4.7] 서브우퍼가 풀 레인지 스피커 아래 바닥에 위치된 경우 [그림4.8] 풀 레인지 스피커와 1.36m 앞에 스택된 서브우퍼 스피커

2019년 05월 제14호 16

(사)무대음향협회

[그림4.8]은 3번 측정 지점에서 풀 레인지 스피커와 서브우퍼 간 거리를 나타낸 그림이다. 그림과 같이 사전에 미리 설계
하여 설치했다면 서브우퍼에 1.36m 지연시간을 적용시켜 해결하겠지만, 이런 상황을 파악하지 못한 체 위상 곡선만 보고
해결해야 한다면 쉽지 않게 느낄 것이다. 그래서 이미 지난 호에 위상 곡선을 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언급하였다.

[그림4.9]에서 120Hz의 크로스오버 주파수 위상각을 살펴보
면, 풀 레인지 스피커의 위상 곡선 그래프에 비해 서브우퍼
위상 곡선 그래프 기울기가 완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풀 레인지보다 서브우퍼가 시간적으로 앞서 있다는 뜻으로
서브우퍼에 4ms를 적용시켜야 한다. 혹 아직도 이해가 안
간다면 소식지 3월호 기술이야기를 다시 살펴보길 바란다.

서브우퍼에 4ms를 적용시켜 얼라인먼트를 맞추었다면, [그 [그림4.9] 서브우퍼 크로스오버 주파수 위상각 편차에 따른 시간 산출 방법
림4.10]과 같이 크로스오버 주파수 지점에서 두 음의 합이
일어나 자연스럽게 증가됨을 알 수 있다. 하늘색은 얼라인먼
트 맞추기 전 주파수 특성이다.

a. 얼라이먼트 전 b. 얼라이먼트 후

[그림4.10] 서브우퍼 크로스오버 주파수 얼라인먼트 전 후 특성 비교 [그림4.11] 3 지점 얼라인먼트 전 후 비교 125Hz

[그림4.11]은 크로스오버 주파수 부근 125Hz 주파수 방사 특성이다. 3번 측정 지점에서 얼라인먼트를 맞추기 때문에 그
지점에서 에너지 증감을 쉽게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2번 측정 지점에서는 오히려 얼라인먼트를 맞추어도 에너지가 증
가 되지 않았다. 또한 2층 객석 아래는 에너지가 상쇠 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2층 객석 4번, 5번, 6번 측정 지점에서는 맞
추기 전에 비해 에너지 합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서브우퍼가 플라잉된 풀 레인지와 떨어져 바닥에 스택된 경우는
[그림4.11b]와 같이 에너지 증감이 객석 전체에 분포될 우려가 있다.

[그림4.12]는 측정 지점별 얼라인먼트를 맞추기 a. 얼라이먼트 전 b. 얼라이먼트 후
전과 후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비교하였다. 4ms
를 서브우퍼에 적용하기 전 [그림4.12a]는 2층 [그림4.12] 객석 지점별 주파수 응답 특성 비교
객석 4 지점을 제외하면 모두 에너지 감쇠가 일
어남을 알 수 있고, 서브우퍼에 4ms를 적용하여 17
얼라인먼트를 일치 시킨 [그림4.12b]는 2번 측
정 지점을 제외하면 객석 전체에 긍정적인 에너
지 합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2019년 05월 제14호

(사)무대음향협회

5. 결론

시간차가 생기는 스피커의 두 음원의 합은 간섭을 일으켜 스피커의 음질이 열화되고 두 개의 음을 만들어내어 명료도에도
좋지않다. 그러나 측정 지점에서 두 음원을 시간적으로 일치 시킨다면 에너지 합을 일으켜 소리의 음질과 기능을 배가 시
킨다. 이러한 시간차를 측정 장비를 통해 정밀하고 손쉽게 스피커 간 얼라인먼트, 서브우퍼와 풀 레인지 스피커의 얼라인
먼트 등 몇 가지 실험과 사례를 통해 알아보았다. 서브우퍼는 바닥에 스택시키는 것보다 가급적 풀 레인지와 함께 플랑잉
하여 최대한 인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객석 전체에 긍정적인 효과를 만들 수 있고, 두 음원의 저음 얼라인먼트는 측정된 위
상각의 곡선 모양을 잘 이해하여 가파른 곡선보다 완만한 곡선 쪽에 딜레이를 적용시켜 얼라인먼트를 맞추면 두 저음을
효과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맞춘 소리라도 최종적으로 인간이 듣기에 좋아야하며, 항상 먼저
듣고 판단하여 결국 우리 귀에 좋은 소리를 찾아 끊임없이 연구해야 할 것이다.

※ 서브우퍼 위상 결합 측정 순서

① 풀 레인지 스피커를 먼저 측정한다.
② 올바른 측정 신호를 얻어내기 위해 측정 신호와 기준 신호의 시간차를 맞춘다.

(측정 프로그램에 딜레이 보정기능을 이용해 기준신호에 딜레이 값을 적용한다.)
③ 주파수 응답 특성과 위상 곡선이 가지런히 정리된 것을 확인하고 저장한다.
④ 다음은 서브우퍼 스피커만 켜서 측정한다.(서브우퍼는 측정은 기준신호에 딜레이를 보정하지 않는다.)
⑤ 서브우퍼 측정 신호를 저장한다.
⑥ 오버레이된 풀 레인지 스피커와 서브우퍼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확인해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확인한다.
⑦ 크로스오버 주파수에서 어긋난 두 개의 위상 값을 메모한다.
⑧ 메모한 위상각의 편차를 구하고, 크로스오버 주파수를 안다면 [식1]에 의해 나온 시간을(ms) 완만한 위상 곡선

스피커에 적용시킨다.

참고자료

[1]. hadi sumoro. a meaningful loudspeaker phase response (understanding different views and thoughts of
phase response curves). http://www.hxaudiolab.com/(2016)
[2]. MAPP XT TM 1.1.3 System Design Tool
[3]. 강성훈, 음향기술총론, 사운드미디어 (2019).
[4]. 강성훈, 음향시스템 튜닝과 측정, 사운드미디어 (2018)
[5]. 성재훈, 국가직무능력표준, 문화·예술, 공연예술, 무대음향, 음향시스템 조정 (2017).

2019년 05월 제14호 18

(사)무대음향협회

공연 소식

청주예술의전당 김석환 대전시립연정국악원 김지탁, 정우영

청주시립국악단 5월 가정의 달 맞이 대전시립연정국악연주단
가족음악회 3인3색 한마당 어린이 특별기획공연 <직녀와 견우>

일시 2019년 5월 02일 일시 2019년 5월 02일 ~ 05일

시간 목 19:30 시간 평일 11:00,
주말 11:00, 14:30

장소 청주예술의전당 대공연장 장소 대전시립연정국악원 큰마당

티켓정보 R석 1만원, S석 5천원, 티켓정보 전석 1만원
A석 3천원
https://www.daejeon.go.kr/kmusic/
링크 http://www.cheongju.go.kr/ac/ 링크 kmsPublicPerformanceView.do?pblprf
viewTnAhPblprfrU.do?pblprfrNo=1182 rInfoId=553&menuSeq=5308&search

&key=16265&si10=2 YearMonth=2019-05

대전예술의전당 성재훈, 김수민 음성문화예술회관 김주혁

스프링페스티벌 동화속 이야기 무용 피아니스트 엄마와 함께하는
<견우직녀> 유럽 음악도시 기행 <오스트리아>
일시 2019년 5월 08일
일시 2019년 5월 04일 ~ 05일

시간 토 11:00, 14:00, 일 14:00 시간 수 19:30

장소 대전예술의전당 아트홀 장소 음성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티켓정보 전석 2만원 티켓정보 전석 1만원

링크 http://www.djac.or.kr/html/kr/ 링크 http://www.esart.go.kr/www/
performance/performance_010101. selectSchdul.do?key=36&schdulNo=
623&searchKrwd=&pageIndex=1&ty
html?mode=V&code=3015
pe=

대전예술의전당 성재훈, 김수민 청주아트홀 이수임

스테판 테밍 리코더 & Young Virtuoso Concert
하프시코드 듀오 청주시립교향악단

일시 2019년 5월 10일 일시 2019년 5월 16일

시간 금 19:30 시간 목 19:30

장소 대전예술의전당 앙상블홀 장소 청주아트홀
티켓정보
R석 5만원, S석 3만원, 티켓정보 1층 1만원, 2층 5천원
링크 A석 2만원
링크 http://www.cheongju.go.kr/ac/
http://www.djac.or.kr/html/kr/ viewTnAhPblprfrU.do?pblprfrNo=941
performance/performance_010101.
&key=16265&si10=2
html?mode=V&code=2968

천안예술의전당 조현, 강태은 천안예술의전당 조현, 강태은

리즈 국제 피아노 콩쿠르 우승자 선우예권 피아노 리사이틀
〈에릭 루 피아노 리사이틀〉
일시 2019년 5월 24일
일시 2019년 5월 16일

시간 목 19:30 시간 금 19:30

장소 천안예술의전당 소공연장 장소 천안예술의전당 대공연장
티켓정보
티켓정보 전석 2만원 R석 5만원, S석 3만원,
A석 2만원, B석 1만원

링크 http://www.cnac.or.kr/play/info_view. 링크 http://www.cnac.or.kr/play/info_view.
html?pfmIng=1&p_idx=934 html?pfmIng=1&p_idx=935

(사)무대음향협회

5월 생일회원입니다! 축하합니다^^

날짜 소속 이름
5월 04일 공주문예회관 윤병권
5월 10일 (음 4월 06일) 금산다락원 조인호
5월 10일 노마드음향 명재진
5월 30일 천안예술의전당 조현

5월 극장음향 스터디 공지

일시 장소 내용 진행
5월 27일(월) 충북지역 스피커 측정 및 튜닝 기초 1 성재훈 감독(대전예술의전당)
(추후 단톡방 공지) (준비물 : 개인 노트북, 오디오인터페이스)

*스터디 3기

• SMAART 8 개요 / 위상 측정하기 / 캘리브레이션 설정 / dB(A) 소음 측정 레벨
• NC값 측정하기/ THD, IMD 측정하기 / 데이터 윈도우 설정 방법 / FFT 사이즈 설정 방법

2019년 6월 장소 : 의견수렴
야유회 개최 날짜 : 의견수렴

2019년 05월 제14호 20

(사)무대음향협회

충청지부 회원현황

번호 이름 소속 번호 이름 소속

01 성재훈(지부장) 대전예술의전당 22 송상협 대전예술가의집
02 주영천(총무) 충남대학교
03 김지탁(서무) 23 신경범 충주학생회관
04 이수임(재무) 대전시립연정국악원
05 이태진(친교팀장) 청주아트홀 24 신재영 천안시민문화여성회관(신부)
06 조인호(기술위원) 한남대학교
07 윤보라(소식지 편집위원) 금산다락원 25 엄상기 보령문화예술회관
08 강태은 프리랜서
09 김민태 26 윤병권 공주문예회관
10 김석환 천안예술의전당
11 김수민 퓨텍AV 27 이근호 진향음향
12 김병운
13 김영배 청주예술의전당 28 이기범 평송청소년문화센터
14 김용진 대전예술의전당
15 김주혁 29 이명갑 아산문화재단
16 김천일 진향음향
17 명재진 충북학생교육문화원 30 이봉순 (주)프레이즈
18 박열
19 박찬익 천안시청 봉서홀 31 이재성 제천시문화회관
20 변인식 음성문화예술회관
21 성유현 대전 한밭도서관 32 이창섭 (주)프레이즈

노마드음향 33 임원규 백석대학교
부여군 충남국악단
34 전재국 천안시민문화여성회관(성환)
아이노스테크
충북학생교육문화원 35 정우영 대전시립연정국악원

SR SYSTEMS 36 조현 천안예술의전당

37 최권능 진향음향

38 최희돈 애니사운드

39 한대영 충주시문화회관

40 홍범영 아이비엔

41 홍성 (주)프레이즈

우리가 만드는 우리들의 이야기 (사)무대음향협회 충청지부 소식지
(사)무대음향협회 충청지부 소식지 발 행 일 2019년 5월 1일 / 통권 제14호
발 행 인 (사)무대음향협회 충청지부장 성재훈
음향인의 벗 제 작 (사)무대음향협회 충청지부 친교팀장 이태진
편 집 (사)무대음향협회 충청지부 편집부
(사)무대음향협회 광고문의 010-4400-8675 주영천 총무

2019년 05월 제14호 21



광고문의 : 010-4400-8675 주영천 총무



모든 VTX-A 시리즈 제품과 호환되는 리깅 시스템
독자적인 차세대 JBL Transducer
Horizontal Coverage Option ( 90°| 110°| 120°)
능률적이고 신속한 배치를 위한 혁신적인 리깅 메커니즘
작고 가벼운 디자인(Truck-Friendly Dimensions)
확장된 Configuation을 위한 마운팅 액세서리
JBL 컨트롤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와 완벽하게 통합

A12 A12W A8 B18
www.jblpro.com
NEW NEW

www.tdpro.co.kr / [email protected]






Click to View FlipBook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