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등록번호
51-6110000-002582-01
유니버설디자인
어르신 가구
가이드북
침대·소파
「유니버설디자인 어르신 가구 가이드북」은
어르신의 특성과 가구 이용 방식을 고려하여
제작되었습니다.
어르신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가구를 디자인
하거나 선택할 때 도움이 되는 가이드를 제시
합니다.
※ 가이드북의 각 항목은 상황에 따라 적용 및 응용될
수 있으며, 삽입된 사진, 그림, 도면 등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입니다.
2
Table of Contents 08
20
목차 30
76
어르신을 위한 가구 92
기본원칙
가구별 세부디자인
어르신 가구 고르기
부록
3
유니버설디자인 어르신 가구 가이드북
시작하며
4
어르신의 변화된 일상이,
안전하고 편안할 수 있도록
초고령사회의 도래로 어르신 가정 내 환경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지만,
어르신의 특성과 상태가 고려되지 못한 일상의 가구들은 낙상 등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장애물이 되기도 합니다.
이 가이드북은 어르신이 안전하고 편리한 일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아이디어들은 서울시의 시범사업과 학계의 연구, 해외
사례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어르신의 특성을 고려해 정리하였습니다.
어르신의 삶의 질이 보다 나아질 수 있도록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5
유니버설디자인 어르신 가구 가이드북
활용 팁 tip_
첫째, 어르신 가구에서 고려해야 할 구성 요소를 확인해 보세요!
01 2 어르신을 위한 가구에서 고려해야 할 구성
침대 요소를 확인하고, 사례 가구의 사진에서 각
구성 요소를 간단하게 확인해 봅니다.
침대 사용 중 낙상의 위험을 줄이고
다양한 이용 행태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합니다. 10 1 주요 구성별 요소 체크
2 사진을 활용하여 요소별 위치 확인하기
1
구성
1.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① 안전한 높이 ② 매트리스 ③ 하부공간
2. 가구 이용 방식을 배려한 디자인
④ 다목적 안전 손잡이 ⑤ 밀림 방지 가드 ⑥ 헤드보드
⑦ 침대 너비
3.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디자인
⑧ 수납 선반 ⑨ 안전 콘센트 ⑩ 야간 보조등
둘째,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찾아보세요!
권장 방향 ● 침대의 높이는 앉거나 일어날 때,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키에 적합하도록 안전하고 편안한 가구의 원리를 이해하고
합니다. 디자인 가이드와 적용 사례를 참고하여 세부
1 ● 앉는 높이는 발이 바닥에 닿도록 하는 것이 균형을 잡기 위한 부담을 덜어줍니다. 적인 내용을 확인해 봅니다.
침대 높이
약 400mm
「어르신의 신체에 적합한 침대 높이」
2
3
1 안전하고 편안한 사용을 위한 권장 방향 확인
30mm 2 어르신의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가이드 확인
3 적용 사례 참고
6
셋째, 내게 필요한 가구를 확인해보세요!
준비하기 어르신, (보호자), 체크리스트 어르신의 신체능력을 확인하고 어르신 가구
팔걸이 있는 의자 1, 팔걸이 없는 의자 1, 시간 측정도구(휴대폰 혹은 시계) 에서 개선이 필요한 구성 요소를 찾아보세요.
1
1. 어르신 혼자서 동작을 하나씩 시도해 보세요.
체크방법 2. 보호자가 어르신의 동작을 관찰하고, 가능한 방식을 확인해 주세요.
3. 총점수를 통하여, 어르신 가구에 필요한 요소를 확인해 주세요.
2균형감각 Q.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아보세요.
체크리스트
팔걸이를 사용하지 않고 안전하게 앉을 수 있다. (4점)
손으로 팔걸이를 짚어 갑작스레 앉게 되는 것을 조절한다. (3점)
다리를 의자에 기대어, 갑작스레 앉게 되는 것을 조절한다. (2점)
혼자서 앉을 수 있지만, 갑작스레 앉게 되는 것을 조절할 수 없다. (1점)
앉을 때 다른 사람의 보조가 필요하다. (0점)
결과활용 4점 만점의 5개 항목으로 총 20점 만점입니다.
3 15~20점 균형감이 아주 좋아요. 하지만, 가구의 크기가 맞지 않아 일
8~14점 어날 수 있는 만일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인체 치수에
맞는 가구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1 신체 능력 체크 방법
2 평가 세부 체크리스트
안전을 위해 보조 요소가 있는 가구를 사용하는 게 좋아요. 3 결과 활용 방법
디딤 요소가 있는 가구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5점 이하 안전을 위한 보조 요소가 필요해요.
소파 팔걸이·침대 안전 손잡이 등 보조 요소들이 필요해요.
넷째, 사용 중인 가구를 종합적으로 진단해보세요!
1 어르신이 현재 사용하는 가구에 어르신을
2. 사용 중인 가구 체크하기 위한 배려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리스
침대 트를 이용하여 진단합니다.
총 15개 항목 ㅣ 3개 이하 (미흡), 7개 (적정), 12개 이상 (우수)
2 체크리스트 체크
● 침대에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닿는다.
● 침대에 누웠을 때 허리가 뜨지 않는다. 1 우리 집 가구 수준 진단
● 침대 위에 여유 공간이 있어 잠을 자다가 뒤척거려도 낙상의 위험이 없다. 2 가구별 체크리스트
다섯째, 어르신 가구를 고를 때 필요한 구성 요소를 체크해보세요!
체크 항목 어르신 소파를 구매하게 될 시,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할 구성요소입니다. 세부적인 내용을 확인하였다면,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어르신 가구의 필요 요소를 체크
1 1. 소파 높이 2. 소파 깊이 3. 편안한 각도 합니다.
7
4. 팔걸이 5. 좌방석 넓이 6. 발받침
7. 머리받침 8. 접이식 선반
3 8
4 5 활용 어르신을 위한 소파를 선택하실 때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2 6
1
2 구분 요소 별 체크리스트 체크
1. 안전한 높이 ● 소파에 앉았을 때 발이 땅에 닿는 높이인가요?
2. 편안한 깊이 ● 소파에 앉으면 등받이 쿠션이 등에 닿나요? 1 주요 요소별 항목
● 등받이 쿠션에 허리를 대고 앉았을 때 무릎이 불편하지 않나요? 2 요소별 세부 체크리스트
7
어르신을 위한
가구
어르신의 신체적 · 정신적 기능 변화, 일상생활과 가구 이용 방식에 대해
문헌자료, 전문가 자문, 대상자 관찰조사 등을 기반으로 정리하였습니다.
8
1. 어르신을 위한 가구의 필요성 10
2. 어르신 이해하기 12
3. 어르신을 위한 가구 개발과정 16
9
1. 어르신을 위한 가구의 필요성
유니버설디자인 어르신 가구의 필요성
첫째, 초고령사회의 도래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20%)로의 진입이 예상되며, 이에 따라
고령자의 삶의 질을 유지하고 향상하기 위한 대책들이 필요합니다.
둘째, 어르신 1인 가구 증가
2020년을 기준으로 65세 이상 가구 중 21.2%가 1인 가구로, 2015년 대비
36%가 증가하였으며, 80세 이상 1인 가구는 50%가 증가하였습니다.
셋째,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의 욕구
65세 이상 어르신의 약 79%는 현재 거주지에 만족하며, 88.6%는 건강 유지
시 '현재 거주하고 있는 가정에서 거주하기(Aging in Place)'를 원하셨습니다.
고령사회진입 초고령사회 진입 (단위: 년)
한국
미국
일본
독일
1940년 1950년 1960년 1970년 1980년 1990년 2000년 2010년 2020년 2030년 2040년
※ 2018년 이후는 추정치 자료: 2017 통계청
「초고령화사회 진입 도표」
10
어르신을 위한 가구
넷째, 신체적 변화에 따라 일상 행동에 영향
노화에 따라 어르신의 신체는 기능적으로 변화가 진행되며, 이로 인해 낙상
시 골절위험이 증가하는 등 일상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다섯째, 가정 내 어르신 안전사고 발생
고령층 어르신의 안전사고 발생 장소 1위는 ‘가정’으로 특히 매년 침실·방, 거실,
화장실에서 낙상사고가 많습니다.
여섯째, 어르신을 위한 가구의 부족
그러나 가정에서 어르신의 변화된 특성을 이해하고,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어르신 안전사고 '가정(집)'내 발생율 약 60.5% (단위: %)
자료: 2019 한국소비자원
침실·방 12.2 18.5
화장실·욕실 10.8
21.9
거실 5 10 15
기타 20
0
「고령자 안전사고 발생 장소」
11
2. 어르신 이해하기
1 어르신의 신체적 특성
어르신의 어르신은 노화에 따라 신체적·생리적·감각적·인지적·정서적 기능에 변화가
신체적 변화 나타나며, 어르신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신체적 기능 신체적 변화 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체적 기능
생리적 기능 ● 뼈 광물질의 소실과 골격량의 감소로 ● 낙상 시 골절 위험성이 증가함
감각적 기능 관절이 약화하며, 키가 줄어듦 ● 이전에 사용하던 가구가 신체에 부적합함
● 자주 미끄러지며, 낮은 문턱에도 쉽게
인지적 기능 ● 발을 드는 높이가 낮아지고, 발의 탄성이
정서적 기능 감소함 걸려 넘어짐
● 굵기가 가는 손잡이를 잡기가 어려움
● 악력이 약해지고, 민첩성이 저하됨 ● 앉고 서는 것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림
● 지구력, 순발력, 균형감각이 저하됨 ● 급하게 일어날 때 어지러움이 발생함
● 기립성 저혈압이 증가함
● 소변이 잦아짐 ● 주야간 화장실 사용 빈도가 증가함
● 수면 시간이 짧아지고 쉽게 잠이 깸 ● 수면주기가 변하고 불면증이 생기기도 함
● 시력 감퇴, 눈부심 현상 발생, 색채, 지각 ● 눈이 부시고, 어둡고 밝음의 변화에 대
인지 약화됨 한 적응 시간이 길어짐
● 청각 능력이 감퇴되면서 잘 듣지 못함 ● 벨소리, 상대방의 말소리를 잘 듣지 못함
● 후각이 약해져 냄새에 둔감해짐 ● 가스가 새는 경우, 냄새를 잘 맡지 못함
● 미각 기능 저하로 인해 신맛, 짠맛, 쓴맛 ● 맛의 구분이 둔해져 요리가 어렵고 다양한
에 대한 역치가 증가함 음식을 섭취하지 않아 영양이 불균형함
● 온도에 둔해지며, 피부가 건조해짐 ● 상처가 생기기 쉬우며, 화상을 입기 쉬움
● 지각, 기억, 지능 등 정신 신경 기능 저하됨 ● 물건을 둔 장소를 잘 기억하지 못함
● 단기기억의 감소함 ● 새로운 기능을 익히기 어려움
● 장기기억은 보존되는 경향이 있음 ● 자신의 물건에 대한 애착이 깊어짐
● 혼자 보내는 시간이 많아짐 ● 사고 발생 시 방치될 수 있음
● 극도의 고독감으로 우울감이 발생할 수 있음 ● 지속적인 사회적 관계망이 없음
「어르신의 신체적 변화가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노화에 따른 기능 저하로 여러 가지 노인성 질환이 나타날 수 있으며, 치료가
어려운 만성질환이 되기 쉽습니다. 가구 사용과 관련하여, 65세 이상 어르신에
게 많이 발생하는 질병으로는 등 통증, 무릎 통증, 척추질환 등이 있습니다.
통증의 경우, 신체적 유연성을 떨어뜨려 가구 사용 시 더 편안한 지지가 필요
합니다. 뇌졸중은 손상영역에 따라 환측 마비, 우측 편마비 등의 근력 기능 약
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
합니다.
12
어르신을 위한 가구
2 어르신 일상의 변화
가정 내 주요 어르신은 일상 중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가장 길며, 낮에 주로 시간을 보내는
생활 공간 장소는 거실입니다. 거동이 불편할수록 거실이나 침실에서 TV를 시청하며 시
간을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동이 불편해 경로당을 찾지 않는 어르신의 일평균 TV 시청 시간은 4.61시간
침실
8.67*3.92(m)
「1인 거주 노인지원주택 대표 도면」
생활 공간과 생활 공간 공간 내 활동 활용 가구
활용 가구 거실
침실 ●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 소파, 의자, TV 수납장
화장실 ● 주로 TV 시청, 요양사분들과 담소를 나누는 공간
현관
부엌 ● 수면을 취할 때 침실로 이동하여 취침하는 공간 침대, 선반
● 종종 침대에서 낙상 사고가 발생하기도 함
● 빈뇨로 인해 밤/낮 상관없이 화장실 방문이 잦음 변기, 수전, 수납장
● 안전봉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안정감을 느낌
● 외출 시 벽 또는 의자를 활용하여 지지한 상태로 신발을 현관 의자
신으며 안전을 위해 경사로가 설치되어 있음
● 식사 시에만 간헐적으로 방문하는 공간 식탁, 식탁의자
● 여성 어르신들은 직접 조리해 식사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가정 내 공간별 활동 및 가구 활용」
13
3 가구 이용 방식의 변화
입식 생활로의 어르신의 신체적 기능 변화로 누운 자세에서 일어나는 자세의 전환이 어려워
전환 지며, 좌식 생활에서 입식 생활로 전환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입식 생
활을 위해 먼저 침대를 구매하며, 거실에서 보내는 휴식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일어나기 쉽고 편안한 소파, 안락의자 등을 필요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휴식용 가구 작업용 가구 수납용 가구
휴식을 위해 신체를 작업 능률을 향상할 수 물건의 수납 기능이
편안하게 받쳐주는 가구 있도록 계획된 가구 추가되는 가구
침대 소파 안락 의자 식탁/의자 현관 의자 수납장 등
「어르신 사용 빈도가 높은 가구」
보조적인 어르신은 일상생활에서 자세를 변경하거나 이동하기 위해 가구를 보조적으로
가구 이용 방식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방식은 매우 다양합니다.
보조 방식 내용 세부유형
누르기
가장 보편적인 보조 방식으로 어르신 이동 시 침대, 소파, 주먹 쥐고 누르기
당기기 식탁 등 주변 모든 가구를 누르고 디디면서 이동하고 기립
지탱하기 하는 방식
*허리가 편찮으신 경우, 허리를 덜 굽히고자 누를 때 주먹 쥐고 누 팔로 감아 당기기
르기 방식을 선호하기도 함
가구에 잡을 수 있는 요소가 있으면, 그곳을 잡고 당기는
형태로 팔을 사용(예: 침대 - 매트리스). 악력이 충분한 경우
사용하는 방식
*악력이 약하면, 팔을 감아 당기기를 더 편하게 느끼기도 함
가구에 잡을 수 있는 요소가 있으면, 그곳을 잡고 지지하며 팔로 감아 지탱하기
몸을 이동하는 방식
*악력이 약하면, 팔을 감아 당기기를 더 편하게 느끼기도 함
14
어르신을 위한 가구
질환에 따른 가지고 있는 질환에 따라, 가구 사용 방식이 일부 변화하기도 합니다. 통증 부
가구 이용 방식 위(혹은 마비 부위)에 신체적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구 이용 방식이 변화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허리 통증 완화를 위해 신체에 적합한 가구를 필요로
하며, 다리 통증 완화를 위해 양손으로 주변을 누르며 일어나는 등의 변화를
보입니다.
허리가 편찮으신 어르신 편마비가 있으신 어르신 하지가 편찮으신 어르신
「사례 대상지 어르신의 질환별 행태차이」
※ 1인 가구 노인지원주택 이용자 조사(2021.1~2021.7)
어르신의 집안 낙상 사고의 절반은 침실과 거실(50.4%)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침실과 거실에서 가장 사용빈도가 높고 사용시간이 긴 가구는 휴식용 가구인 침
대와 소파입니다. 그러나 현재의 가구는 어르신의 변화에 대한 반영이 부족하므
로, 어르신은 안전사고에 노출되는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용자 조사 시 어르신들에게 가장 사용빈도가 높고 필요한 가구 1위는 침대, 2위
는 소파였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①내가 보유한 가구가 사용하기에 도움이 되
지 않아서(침대)’, ‘②필요한데 없거나, 있어도 사용할 때 자세가 불편해서(소파)’
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따라서, 본 가이드북에서는 어르신 가구 중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침대, 소파에
대한 개선을 연구하였습니다.
15
3. 어르신을 위한 가구 개발과정
1 유니버설디자인 어르신 가구 개발
개발 과정 어르신을 위해 더 나은 가구를 선택하거나, 제작할 수 있도록 아래와 같이 개발
과정을 진행합니다. 디자인 고도화를 위해, 아래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진행합
니다.
1 대상자 조사 2 문제점 분석 3 디자인 개발 4 디자인 적용
대상자 기초환경 어르신 인터뷰 유니버설디자인 개선된 디자인
조사·분석 해결방안 도출 설계 및 구현
대상자 특성 및 환경, 현 가구 사용 시 문제, 전문가(UD, 노인, 가구)
이용 서비스 조사 니즈 도출 자문, 어르신 가구 이용
방식 검증과 데이터
분석을 통한 디자인
작업
어르신 가구 어르신 가구 프로토타입 제작 및
현황 조사 이용 방식 분석 평가·보완
고령자의 가구 이용 경험
문헌조사
어르신 특성 분석 최종 개선된 디자인
설계 및 구현
신체·생리·감각·인지·
정서적 변화 등 가구 이용 과정 중 이용 프로토타입 설치 및
방식에 기초한 니즈 도출 어르신 피드백 수렴
유니버설디자인 가구의 표준 치수 조사 및 분석
※ Ergonomics, Barrier Free Design,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병원가구,
복지용구, 일반가구 치수 비교분석
16
어르신을 위한 가구
개발 진행 첫째, 대상자 조사
어르신 특성
신체적 변화 가구 이용 일상의 변화 개인적 특성
방식의 변화
몸의 탄력 저하로 생활패턴의 변화 건강상태(질환 유무),
움직임 둔화 및 신 이동 및 기립 시 신체 및 사회활동의 축소 신체조건, 거주공간
체 약화, 사물인지 를 보조하기 위한 에 따른 개인적 차이
저하 디딤 요소 필요
둘째, 문제점 분석
어르신의 가구 사용상 발생하는 주요 이슈 도출
어르신에게 어르신의 어르신의 변화된 어르신의 다양한
더 이상 안전하지 가구 사용 방식 일상이 고려되지 상황 및 상태가
고려가 부족한 가구 고려되지 않은 가구
않은 가구 않은 가구
"침대가 높아서 "침대에서 한번 일 "밤에도 7~8번은 "집이 작아서, 이 정도
일어서다가, 앞으로 어나는 게 어려워 깨서 화장실을 가 크기가 나는 딱 좋아
고꾸라 진적도 있어 요. 이동할 때도 매 요." 요."
요. 균형을 잘 못 잡 트리스를 잡는데
으니까." 손목이 아파요."
Q. 어르신에게 적 Q. 침대에서 일어 Q. 밤에 일어났을 Q. 어르신의 거주지
합한 침대 높이는 나는데 도움이 되 때 안전하려면 무엇 환경에 적합한 사
무엇인가? 려면 침대에 무엇이 이 필요할까? 이즈는 무엇일까?
필요할까?
17
1 유니버설디자인 어르신가구 개발
셋째, 디자인 개발
핵심 이슈에 기초한 해결방안 도출
예시. 침대에서 일어나는데 도움이 되려면 침대에 무엇이 필요한가?
아 아이디어
이 누르면 들어가는 매트리스 대신,
디 침대에 자연스럽게 지탱할 수 있는
어 안전손잡이 적용
도 Q. 안전손잡이에 적합한 높이, 위치,
출 두께는 무엇인가?
문헌조사 결과
문 침대 주변 안전손잡이의 높이는 685
헌 ~760까지 다양하게 나타남
분 Q. 적합한 높이, 위치, 두께는?
석
/ 자문 결과
자 Barrier Free Design의 일환으로
문 휠체어 사용자를 고려해 낮은 경우가
있으며, 가구에 자연스러운 적용 권장
복합질환 검증도구 제작
철재 파이프로 안전손잡이를 제작하
도 허리통증 여 어르신이 선호하는 안전손잡이의
구 위치, 높이, 활용도 등 검증 진행
개
발
/ 편마비 행태 검증
검 침대 이용 전반에 쉽게 사용하며, 질
증 환별로 사용 방식에 일부 차이 존재
18
어르신을 위한 가구
넷째, 디자인 적용
디자인 방향 설정 및 구현
방향. 어르신에게 필요한 기능을 포함하되, '집' 답고 시설 같지 않은 디자인
디자인 리서치
디 가구 디자인 리서치를 통해, 침대에서
자 필요한 기능은 포함하지만, 집답고
인 시설 같지 않은 자연스러운 형태 조사
개 디자인 스케치
발 기존에 가구형태에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는 요소 고려. 디자인 스케치 진행
디자인 목업
디 어르신이 침대 사용 중 누르기, 당기기,
자 지탱하기 등 각 방식에서 편안하게
인 사용할 수 있는 형태 도출
설 Q. 침대 사용 행태 전반에서 어르신이
계 충분히 안전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인가?
디 디자인 고도화
자 3D 렌더링을 통한 디자인 고도화 진행.
인 제작 전문가 협의를 통한 구조적 설계
구 개선 과정 진행. 어르신의 가구 이용 방식
현 에적합한 소재 선정을 통해 가구 제작
19
기본원칙
어르신이 사용하는 가구는 안전하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가구 사용 중 신체적
부담을 덜어주면서 사용이 용이하여, 자립생활을 지원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야 합니다.
20
1. 안전한 일상을 위한 가구 22
2. 자립생활을 도와주는 가구 24
3. 변화와 다양성을 포용하는 가구 26
4. 정서적으로 편안하고 이용이 편리한 가구 28
21
1. 안전한 일상을 위한 가구
잠재적 위험의 제거
1) 둥근 모서리
● 가구의 모서리는 부딪힘과 걸림에도 안전하도록 모서리를 둥글게 합니다.
● 이동 동선에 배치되는 가구 중 기능적 특성상 구조적으로 모서리가 필요한 경우,
노출되는 모서리에 부드러운 소재를 결합하여 잠재적 위험 요소를 제거합
니다.
2) 돌출 부위의 최소화
● 가구 구성 중 선반, 손잡이 등 일부 돌출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경우에는 돌출
부위를 최소화하여 어르신이 이동 중 옷이나 신체가 걸리지 않도록 합니다.
● 여닫이 문 수납장은 열려있는 문에 의해 가구 이용 중 상해의 위험성이 있으
므로 미닫이문 수납장을 사용합니다.
● 의자 다리의 경우, 과도한 돌출이 있는 구조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걸림 요소의 최소화
● 이동 중 인지가 어려운 위치에 발이 걸리는 요소가 없도록 합니다.
● 가구 주변에 전기제품을 두고 사용하는 경우, 가구에 콘센트를 내장하여
사용하기 쉽고 신체가 걸려 낙상할 수 있는 상황을 예방합니다.
안전한 소재 & 색상
4)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소재
● 가구 사용 중 미끄러질 수 있는 요소를 구조적으로 최소화하되, 기능적으로
필요한 구조의 경우 실리콘, 고무, 가죽 등의 소재를 결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
합니다.
5) 화재에도 안전한 소재
● 화재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방염, 난연 처리된 소재를 사용합니다.
● 매트리스는 온열기기와 함께 사용하면 가열되므로, 화재의 가능성이 높은
소재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6) 인지하기 쉬운 색상
● 시각적인 인지의 약화를 대비하여, 가구를 멀리서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가구의 색상은 주변 환경과 명도 대비가 되도록 합니다.
● 눈의 노화로 청색계열을 보는 능력이 먼저 저하되므로 가구의 색상은 황색,
오렌지색, 갈색 등과 같은 따뜻한 색상이 좋습니다.
22
기본원칙
신체적 특성의 반영
7) 육체적 부담을 덜어주는 높이
● 가구의 높이는 사용상 무리가 가지 않도록 키에 맞도록 합니다.
● 휴식용 가구의 앉는 높이는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닿도록 하는 것이 균형
을 잡기 위한 부담을 줄여줍니다.
● 선반과 수납장은 서있는 상태에서 손을 뻗었을 때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높이가
좋으며, 너무 낮거나 높은 선반은 어깨와 허리에 부담을 줍니다.
8)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깊이
● 침대 매트리스의 경도는 신체 굴곡을 고려하여 누웠을 때 압박감이 없고 허
리가 뜨지 않도록 해서 특정부위의 부담을 덜어주도록 합니다.
● 의자 깊이는 앉았을 때 등받이에 등이 닿도록 하는 것이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고 장시간 앉아있어도 편안합니다.
● 수납장은 팔을 뻗었을 때, 안쪽 벽면에 손이 닿을 정도의 깊이가 적합합니다.
9) 신체적 움직임을 고려한 여유 있는 넓이
● 가구의 넓이는 신체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여유공간이 있도록 합니다.
● 침대는 자세 변경과 뒤척임, 침대에서 사용하는 물품들을 고려하여 여유
공간이 있는 넓이가 낙상으로부터 안전합니다.
● 소파의 경우에도 한 자세로 앉아있는 것보다 자세를 변경하는 것이 혈액
순환에 좋으며, 위치 변경을 위한 여유공간을 필요로 합니다.
「모서리가 둥근 소파」
23
2. 자립생활을 도와주는 가구
자립생활의 보조
1) 행동반경을 넓히는 구조
● 자립생활을 위해서는 한 자리에만 머물지 않고, 일상 활동에 맞는 다양한
공간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이동을 보조하는 가구가 필요합니다.
● 주변에 잡을 것이 있을 때 몸을 쉽게 일으킬 수 있고 실내에서 더 많은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
● 가정에서 낙상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장소인 침실, 거실 등에는 안전
손잡이, 안전 손잡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가구를 배치하는 것이 어르신의 안
전한 생활에 도움이 됩니다.
2) 침대의 기능성 안전 손잡이
● 침대에 기능성 안전 손잡이를 포함하면, 몸을 쉽게 일으켜 다양한 공간으로
이동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안전 손잡이의 위치는 어르신들이 침대에서 잡고 이동하기 위한 낮은 손잡이와
몸을 일으킬 때 당기기 용이한 높은 손잡이를 함께 두어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 안전 손잡이의 길이는 누웠을 때 어르신의 허리 부근까지 오도록 하여, 일어난
후 몸이 걸리지 않고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3) 소파의 팔걸이
● 소파의 팔걸이는 휴식뿐만 아니라, 어르신들의 이동 시 지지하는데 유용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팔걸이가 있는 소파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소파의 팔걸이는 거동이 불편할수록 일어날 때 신체를 지지하므로 견고한
구조의 팔걸이가 있는 소파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시설 같지 않은 가구
4) '집'과 조화로운 소재
● 나무, 천, 가죽과 같은 가정환경에서 흔히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하여 집과
조화롭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철 소재는 정서적으로 자칫 시설에 있는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사용상 차가운
촉감을 고려하여 피하는 게 좋습니다.
● 신체를 받쳐주기 위한 강도를 위해 철 소재가 필요한 경우, 형태적 보완을
통해 이질적인 느낌을 최소화 합니다.
24
기본원칙
5) 가정용 가구와 조화로운 형태
● 집안 환경과 이질감 없이 조화롭게 어우러질 수 있도록 일반가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형태의 디자인이 좋습니다.
● 시설, 병원 등에서 일률적으로 사용되는 크기와 형태의 안전손잡이가 반영된
가구는 정서적으로 우울감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지양합니다.
6) 적정 수준의 기능과 배치
● 자립생활을 보조하기 위한 가구의 기능은 어르신이 필요한 곳에 자연스럽게
배치합니다.
● 가정에 안전 손잡이가 많아지면 시설 같은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주의
합니다.
● 이동경로에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가구를 배치하면 가정적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낙상방지를 고려하여 침대 내 안전 손잡이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어르신이 침대에서 스스로 나오는데 어려움이 없는 길이와 위치를 고려한
배치가 좋습니다.
「팔걸이가 있는 소파」
25
3. 변화와 다양성을 포용하는 가구
어르신의 변화에 대응
1) 어르신의 신체적 변화에 대응
● 어르신의 신체 변화에 따라 가구 구성에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도록 합니다.
● 거동이 불편해지면, 자주 사용하는 가구에 행태를 보조할 수 있도록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구조를 고려합니다.
●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게 될 수 있는 상황을 대비하여, 구조적으로 보조
자에 대한 배려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인지적 특성에 따른 유연한 대응
● 인지적으로 기능이 저하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가구와 침구는 대비되는
색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중요 기능에 시인성이 높은 색을 사용합니다.
● 새로운 기능은 단시간에 알기 어렵기 때문에, 기능을 단순화하여 새로운
학습의 필요성을 최소화합니다.
3) 개인의 신체적 능력 차이에 대응
● 어르신에 따라 악력, 손의 땀, 균형감각 등에서 개인적 차이를 보이므로 신체
능력을 고려하여 도움이 되는 구조를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악력이 강한 어르신의 경우, 잡고 당길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생활
전반에서 이동 시 도움이 됩니다.
● 손에 땀이 적은 어르신의 경우, 미끄러짐 방지를 위한 대안이 더 필요하며
미끄러지기 쉬운 구조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균형감각이 저하되신 어르신의 경우, 자세변경 후 균형을 잡기 위해 지탱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양한 사용자 포용
4) 모든 사람의 유연한 사용
● 젊은 층도 사용하기에 거부감이 없도록 디자인하여 어르신뿐만 아니라,
신체적으로 안전하고 편안한 가구를 원하는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이 되어야 합니다.
● 어르신뿐만 아니라, 장애가 있는 젊은 층, 신체가 불편해진 임산부, 아이들
에게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26
기본원칙
5) 개인적 특성 및 거주 환경에 대응
● 키, 몸무게 차이를 고려하여 가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협소한 공간에서 거주하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
양한 주거환경에서 유연한 크기로 배치가 가능해야 합니다.
6) 노인성 질환의 특성에 대응
● 노인성 질환의 특성과 가구 이용 방식을 함께 고려할 때 보다 다양한 사용자가
편리하게 가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허리 통증이 있는 어르신의 경우, 신체를 굽히는데 더 큰 부담을 느끼므로
낮은 높이의 지지구조 만으로도 행동 보조에 큰 도움이 됩니다.
● 편마비가 있는 어르신의 경우, 한쪽 신체가 마비됨에 따라 마비되지 않은 쪽의
신체적 힘에 의존하므로 높은 높이의 지지 구조가 도움이 됩니다.
● 무릎 관절염이 있는 어르신의 경우, 강직되고 붓기가 생겨 무릎을 완전히
폈다가 굽히기가 어려우므로 무리하게 무릎을 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
니다.
「위치 조절이 가능한 침대 안전손잡이」
27
4. 정서적으로 편안하고 이용이 편리한 가구
일상에서의 편의 배려
1) 장시간 사용에도 편안한 가구
● 거주 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는 어르신은 가구의 이용 비중이 높아
장시간 사용해도 안전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 침대는 노인성 질환으로 통증이 잦은 어르신이 장시간 누워있어도 신체를
압박하지 않고 혈액순환을 도와주는 매트리스와 욕창방지에 유리한 통풍
구조의 매트리스가 좋습니다.
● 소파는 낮시간 중 가장 긴 시간 사용하는 가구로 앉은 자세에서 어르신의
신체 부담을 최소화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머리, 허리, 팔, 다리를
지지하여, 구부정하지 않고 안정적인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합니다.
2) 야간 활동 시야 확보
● 밤에 화장실에 가기 위해 일어났을 때에도 쉽게 동선을 파악하고 시야를 확
보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동작감지센서가 삽입된 침대의 야간 보조등은 침대에서 일어날 때, 바로 어
르신의 움직임을 인지하여 야간에 시야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 거주공간이 넓은 경우, 화장실까지의 시야 확보를 위해 복수의 야간 보조등
을 설치합니다.
● 특히, 소파는 거주 공간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어 소파에 야간보조등을 적용
하면 침실에서 화장실까지 이동할 때 연속적으로 시야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3) 일상에 필요한 물건의 수납
● 침대는 휴지, 물, 약품 등 일상에서 필요한 물건들을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
가 많으므로 안전하게 보관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 어르신에 따라, 침대에서 찜질기, 온열기, 마사지기를 사용하는 경우 복잡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보관 공간을 마련합니다.
● 소파에서의 긴 휴식 중에도 간단한 물건을 보관하거나,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수납 선반 등을 확보합니다.
28
기본원칙
공동사용의 편의 배려
4) 사회적 교류에 도움이 되는 가구
● 어르신 가구의 경우, 어르신과 방문자 모두 편안하게 상호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 침대의 경우, 보호자의 돌봄이 필요해지는 상황을 대비하여, 침대 하부에
발이 들어가기 쉽도록 합니다.
● 소파의 경우 가족, 이웃, 방문요양보호사 등 다양한 방문 형태에 따라 배치
및 사용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야간 활동에 도움이 되는 침대」
29
가구별
세부 디자인
침대·소파
어르신의 사용 빈도가 높은 가구, 침대와 소파를 중심으로 권장방향과 디자인
가이드를 제시합니다.
01 침대 32
34
1.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39
2. 가구 이용 방식을 배려하는 디자인 48
3.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디자인
54
02 소파 56
60
1.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66
2. 가구 이용 방식을 배려하는 디자인
3.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디자인 72
74
03 공통사항
1. 정서와 감각을 배려하는 디자인
01
침대
침대 사용 중 낙상의 위험을 줄이고
다양한 이용 행태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구성
1.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① 안전한 높이 ② 매트리스 ③ 하부공간
2. 가구 이용 방식을 배려한 디자인
④ 다목적 안전 손잡이 ⑤ 밀림 방지 가드 ⑥ 헤드보드
⑦ 침대 너비
3.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디자인
⑧ 수납 선반 ⑨ 안전 콘센트 ⑩ 야간 보조등
32
9 8
7 6
4
1
52
10
3
33
1.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디자인
1 침대 높이
현황 일어날 때 편안하고 낙상으로부터 안전한 침대 높이
● 일반 침대의 높이는 500mm 이상인 경우가 많아, 앉으면 발이 바닥에 닿지
않습니다. 어르신은 몸의 탄력이 약화되어 오금 높이보다 높은 침대를 사용하면
균형을 잃고 낙상 위험에 노출됩니다.
● 너무 낮은 침대는 일어날 때 무릎에 힘이 과중되며, 균형을 잡기 어렵습니다.
높이 높이
530mm 370mm
「어르신의 신체보다 높은 침대」 「어르신의 신체보다 낮은 침대」
권장 방향 ● 침대의 높이는 앉거나 일어날 때, 신체에 무리가 가지 않게 키에 적합하도록
합니다.
●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닿도록 하는 것이 균형을 잡기 위한 부담을 덜어줍니다.
침대 높이
약 400mm
「어르신의 신체에 적합한 침대 높이」
34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가이드 ● 침대 높이 = 매트리스 높이 - 앉았을 때 매트리스가 가라앉는 높이
● 60대 평균 오금 높이: 407mm
● 권장 침대 높이: 약 400~450mm
※ 같은 침대 높이도 실제 앉았을 때의 높이는 몸무게, 매트리스 경도에 따라 차이가
나므로 동시에 고려합니다.
매트리스 150 270
침대 하부 침대 전체 높이
[ Side View ] 420
*높이 조절 볼트
키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 (0~30mm)
「적용 사례」
30mm
「기본 높이」 「높이를 30mm 높인 모습」
35
1.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디자인
2 매트리스
현황 누웠을 때 허리가 뜨지 않고 압박감이 없는 매트리스
● 너무 부드러운 매트리스는 누웠을 때 매트리스가 가라앉으며, 목이나 허리에
체압이 집중되어 가슴, 허리, 등을 압박합니다.
● 너무 단단한 매트리스는 닿아있는 부분에 체압이 집중되고 혈액순환이
나빠져서 자주 돌아 눕게 됩니다. 오래 누워있는 경우, 신체의 같은 곳에 장
시간 압력이 가해져 욕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너무 부드러운 매트리스의 체압 분포도」 「너무 단단한 매트리스의 체압 분포도」
권장 방향 ● 침대 매트리스의 경도는 누웠을 때 압박감이 없고 허리가 뜨지 않도록 신체
굴곡을 반영하여 특정 부위의 부담을 덜어줍니다.
● 체중과 매트리스의 경도가 맞아야 바른 자세로 숙면을 취할 수 있습니다.
「신체에 적합한 매트리스의 체압 분포도」 그림: 에르고침대
36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가이드 ● 신체 굴곡에 따라, 스프링 조건에 차이를 주어 체압 분산
● 허리 부근: 단단한 스프링(Hard) / 어깨 부근: 부드러운 스프링(Soft)
● 신체에 닿는 표면은 부드러운 원단 및 쿠션 처리
※ 관절염, 신경통, 허리 통증 등의 질환이 있는 경우 '단단한 매트리스'를 사용하는
것이 발병 부위의 과다한 움직임을 줄여줍니다.
※ 욕창예방을 위해 '체압 분산 스프링'이 적용된 통기성 좋은 매트리스가 좋습니다.
※ 온열기 사용을 고려하여 열에 약한 소재는 지양합니다.
HARD SOFT MEDIUM HARD MEDIUM SOFT HARD
바르게
누웠을 때
옆으로 [ Side View ]
누웠을 때
※ 체중별 매트리스 선택
「적용 사례」 ● 체중이 40kg 미만: 덜 가라앉기 때문에
경도가 낮고 부드러운 매트리스를 사용
● 체중이 50~80kg: 조금 단단한 매트리스
가 움직임이 쉽고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용이함
● 체중 80kg 이상: 체중을 받쳐줄 수 있는
단단한 경도의 매트리스 권장
37
1.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디자인
3 하부공간
현황 안전하게 일어나도록 발이 들어갈 수 있는 침대 하부공간
● 일어날 때 발이 뒤로 들어갈 공간이 없으면 일어나기 위해 허리를 더 많이 굽
히게 되어 신체에 부담을 주며, 균형을 잡기 어렵습니다.
● 침대 하부에 공간이 막혀있으면 보호자가 어르신의 몸을 일으키고 간병하
는데 어렵습니다.
「침대 하부에 공간이 없는 침대」 「침대 하부에 공간이 없는 침대」
권장 방향 ● 일어날 때 육체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하부공간 높이와 깊이를 확보합니다.
● 어르신과 간병하는 보호자 모두 안전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 KS 발 끼임 방지 기준
최소 여유 공간
가로 60*세로 80
최대 여유 공간
가로 120*세로 120
100 120
120 60
120
80
(단위 : mm)
「발이 안정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하부공간」
38
2. 가구 이용 방식을 배려한 디자인 가구별 세부 디자인
4 다목적 안전 손잡이
현황 침대에서 낙상방지와 신체 지지를 도와주는 다목적 안전 손잡이
● 침대에 눕고 일어날 때 매트리스의 가장자리를 잡은 상태로, 앉고 위치를 변경
하며 매트리스를 지지하고 일어나는 이용 방식은 손목 등에 부담을 줍니다.
● 침대의 헤드보드와 주변 가구 등을 지지하여 일어나기도 하지만, 무리한 움직
임과 부적절한 가구 배치는 미끄러짐을 유발하여 낙상 위험에 노출됩니다.
「매트리스와 헤드보드를 잡고 일어나는 어르신」 「주변 가구를 지지하고 일어나는 어르신」
권장 방향 ● 누운 자세에서 안전하고 쉽게 일어날 수 있도록 손이 닿는 위치에 잡기 편한
안전 손잡이를 설치합니다.
● 침대에서 몸을 이동하거나 일으킬 때 상황에 맞게 잡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높낮이가 다른 안전 손잡이가 필요합니다.
● 안전 손잡이의 길이는 누웠을 때 허리 부근까지 오도록 하여, 낙상을 방지하
고 일어난 후 몸이 빠져나오기 쉽도록 하는 게 좋습니다.
「안전손잡이를 잡고 일어나는 어르신」
39
4 다목적 안전손잡이
디자인 ㉮ 높은 손잡이
가이드 ● 누워있다가 앉을 때, 서있을 때 지지하기 좋은 높이 (높이는 약 720mm 내외)
㉯ 낮은 손잡이
● 침대에 누워있을 때 잡고 이동하기 좋은 높이 (매트리스보다 약 100mm 높은 위치)
㉰ 세로 손잡이
● 누워서 손을 뻗어 잡고 당기기 좋은 위치 (헤드보드로부터 약 300~600mm)
㉱ 손잡이 형태와 두께
● 상단이 평평하여 누르고 지지하기 용이하고 잡기 편한 형태
● 감싸는 손의 안쪽 둘레와 유사하여 잡기 편안한 두께 (지름 약 32mm)
㉲ 손잡이의 위치 변경
● 신체/질병/선호별 원하는 위치로 변경하여 배치
255 465 32
㉮ ㉯ ㉱
㉰
730
510
24.5
㉲
(단위 : mm)
[ Side View ]
㉮,㉯ 가로 손잡이의 주요 용도 ㉰ 세로 손잡이의 주요 용도
침대에서 일어날 때 침대 내 이동 시 주로 활용 누운 상태에서 몸을 일으킬 때 주로 활용
누르기 당기기 지지하기 둘러감기
40
가구별 세부 디자인
「적용 사례」 ㉮ 높은 손잡이의 활용
● 누운 상태에서 돌아눕거나 적은 힘으로 몸을
일으킬 수 있도록 사용
● 앉은 상태에서 완전히 일어설 때 허리를 쉽게
펼 수 있도록 사용
「높은 손잡이를 누르며 몸을 일으키는 모습」
㉯ 낮은 손잡이의 활용
● 침대에 앉고, 눕고, 일어날 때, 낮은 손잡이를
잡고 지지하여 몸을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고,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
「낮은 손잡이를 누르며 앉는 모습」
㉰ 세로 손잡이의 활용
● 누운 상태에서 일어날 때, 낮은 손잡이를
지지하고, 세로 손잡이를 당김으로 몸을 쉽
게 일으킬 수 있도록 사용
「세로 손잡이를 당기며 일어나는 모습」
㉱ 형태와 두께 활용
● 침대에서 몸을 움직일 때, 손목에 부담을
덜어주고 잡기, 누르기, 지지하기, 감기, 얹고
휴식하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
「손잡이를 잡은 모습」
41
4 다목적 안전손잡이
㉲ 위치 변경
● 개인적 특성(신체상태, 질환, 선호 등)에 따라 안전 손잡이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
활용1) 높은손잡이가앞쪽에있는것이편한이용자
몸을 돌려 반대편 손을 뻗었을 때 바로
닿는 위치에 높은 손잡이가 있어, 지지
하는 팔꿈치의 힘을 덜어줌 (편마비·골
절 등 한쪽 팔을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높은 손잡이를 앞쪽으로 설치한 모습」
활용2) 양쪽 안전손잡이가 편한 이용자
장시간 누워있는 이용자의 침대 내 이동
을 도와주고, 양쪽에 벽이 없는 경우 낙
상을 예방해줌(허리통증, 척추협착 등
으로 허리를 움직이기 어려운 경우)
「양쪽에 안전 손잡이를 설치한 모습」
42
2. 가구 이용 방식을 배려한 디자인 가구별 세부 디자인
5 밀림 방지 가드
현황 안전사다리 고정이 용이한 형태의 매트리스 밀림 방지 가드
● 앞쪽으로 일어나길 선호하는 어르신의 경우, 당길수 있는 줄이 있으면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침대에는 이러한 줄을 설치할 구조물이 없습니다.
● 병원 침대는 줄 설치가 가능하지만, 가정환경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앞쪽에 당길 것을 찾는 어르신」 「줄을 고정할 구조가 없는 침대」
권장 방향 ● 매트리스의 밀림 방지 가드는 둥근형태로 매트리스 하단 중앙에 일부분으로
배치하되, 장력에도 견고한 구조로 합니다.
● 줄이나 안전사다리를 걸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안전사다리를 당기고 일어나는 어르신」
43
2. 가구 이용 방식을 배려한 디자인
6 헤드보드
현황 부딪힘에 안전하고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헤드보드
● 질환, 신체 약화 등으로 침대 생활이 길어질 경우, 침대에 기대앉아서 일상
용무를 보기도 합니다.
● 헤드보드에 쿠션이 없는 경우 침대에 눕거나 자세를 바꿀 때, 머리를 부딪히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일반 침대의 헤드보드 높이는 800 ~ 1000mm로
답답함을 느끼기도 합니다.
「나무 헤드보드에 머리를 부딪히는 어르신」 「높은 헤드보드를 답답하게 느끼는 어르신」
권장 방향 ● 침대에 앉아서 기댔을 때, 가구의 모서리가 몸에 닿지 않도록 합니다.
● 누워서 뒤척일 때 머리가 부딪혀도 안전하도록 헤드보드에 쿠션이 있는 것이
좋습니다. 답답하게 느끼지 않고, 일상용품을 올려두고 사용하기 좋은 높이
가 좋습니다.
「머리의 충격을 방지하는 헤드보드」
44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 머리 충돌 시 충격 완화를 위한 헤드보드 높이
가이드 = 헤드보드 쿠션 높이 - 침대 높이 (약 200~240mm)
● 60대 어르신 평균 머리 높이: 약 183mm
● 머리 충돌에 대비하고 앉아 기댔을 때 편안하도록 쿠션을 내장
● 헤드보드 선반의 적용과 안전 손잡이의 자연스러운 배치를 위해 2중 헤드보
드 배치 (내부 헤드보드 높이 약 660mm, 외부 헤드보드 높이 약 760mm)
*둥근 모서리
헤드보드 쿠션 240
760
420
[ Front View ] [ Side View ]
「 적용 사례 」
「몸을 일으켜 물을 마시기 좋은 높이」 「앉아서 기댔을 때 편안한 쿠션」
45
2. 가구 이용 방식을 배려한 디자인
7 침대 너비
현황 뒤척임에도 낙상을 예방하고, 여유 있게 신체를 받쳐주는 너비
● 좁은 침대를 사용하는 경우 뒤척일 때마다 낙상에 대한 불안감을 느낄 수 있
습니다.
● 침대 위에 신체 보조용 베개, 찜질기 등을 두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침대가
더 좁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침대가 좁아 발이 나오는 어르신」 「뒤척임이 심해 발이 나오는 어르신」
권장 방향 ● 수면 중 뒤척임에도 낙상 불안감이 없고, 침대에 누워서 필요한 소품들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넓이가 좋습니다.
「뒤척임에도 여유 있는 침대 너비」
46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 침대 기본 너비: 슈퍼싱글 사이즈 1,100mm
가이드 ● 뒤척임이 많은 어르신을 위한 너비: 퀸 사이즈 1,400mm
● 뒤척임이 많으나 가정환경이 협소할 경우: 선반 활용
(슈퍼싱글 사이즈 1,100mm + 선반 약 280mm)
※ 측면 선반은 몸이 올라갔을 때, 하중을 버틸 수 있는 견고한 구조
뒤척임을 대비한 너비 선반너비
1,380 280
매트리스 너비
1,100
(단위 : mm)
[ Front View ]
「 적용 사례 」 매트리스 너비
매트리스 너비 1,400
1,100
「 슈퍼싱글 침대」 「 퀸 사이즈 침대 」 (단위 : mm)
47
3.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디자인
8 수납 선반
현황 침대 위 물품들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선반
● 침대에서 자주 사용하는 물품들(휴지, 휴지통, 약, 컵 등)을 헤드보드 위에
올려두고 사용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 침대 위에 안마기, 찜질기, 온열기, 신체 보조용품 등을 두고 사용하여 침대가
좁아지고 낙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헤드보드 위에 올려져 있는 용품」 「침대 위에 올려져 있는 온열기기」
권장 방향 ● 자주 사용하는 일상용품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헤드보드의
손이 닿는 높이에 수납 선반을 두는 것이 좋습니다.
● 측면에 넓은 선반이 있으면 침대에서 자주 사용하는 큰 물건들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뒤척일 때 몸을 받쳐주는 역할을 합니다.
「물건을 올려둘 수 있는 수납 선반」
48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 헤드보드 선반
가이드 ● 어르신의 일상에서 필요한 물건을 올려둘 수 있는 선반 (기본 구성)
● 깊이: 곽휴지, 컵 등을 안전하게 올려놓을 수 있는 깊이 (약 250mm)
● 높이: 침대 이용 중 물건을 꺼내기 편안한 높이 (약 640mm)
㉯ 측면 수납 선반
● 침대에서 사용하는 물건이 많은 이용자를 위한 선반(선택적 구성)
● 깊이: 찜질기, 안마기, 온수매트 등을 올려놓기에 넉넉한 깊이
● 높이: 뒤척임에도 몸이 걸리지 않도록 매트리스보다 낮은 높이 (약 380mm)
250 1400
측면 수납선반
* 위치 조절 볼트
원하는 위치로 변경 가능
헤드
보드
선반
1260
280
(단위 : mm)
[ Top View ]
「 적용 사례 」
「 헤드보드 선반」 「 측면 수납선반 」
49
3.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디자인 가구별 세부 디자인
9 안전 콘센트
현황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침대 내장 콘센트
● 안마기, 찜질기, 온수매트, 휴대폰 충전 등 침대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자제품의
전선들이 정리되지 않아 몸이 걸리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습니다.
● 침대 주변에 콘센트를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이물질 등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에 노출됩니다.
「헤드보드 측면에 위험하게 연결된 콘센트 」 「매트리스 위 멀티탭과 정리되지 않은 배선」
권장 방향 ●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침대 내 별도의 콘센트를 배치합니다.
● 사용 중 이물질로 인한 내·오염을 방지를 위해 덮개가 있는 콘센트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직관적인 인지가 가능하도록 콘센트는 주변과 대비되는 색상으로 합니다.
「전자기기 충전을 할 수 있는 헤드보드 콘센트」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