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ords you are searching are inside this book. To get more targeted content, please make full-text search by clicking here.

유니버설디자인 어르신 가구 가이드북

Discover the best professional documents and content resources in AnyFlip Document Base.
Search
Published by LapohMan, 2022-03-10 01:49:41

유니버설디자인 어르신 가구 가이드북

유니버설디자인 어르신 가구 가이드북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 헤드보드 안전 콘센트
가이드 ● 헤드보드에 콘센트를 기본 구성: 휴대폰 충전 등 간단한 전자기기 사용
● 먼지방지를 위해 덮개 설치
● 소켓수: 2~3개
● 전력: 250V~, 10A, 소비전력 1800W 이하로 사용

㉯ 측면 수납 선반 안전 콘센트
● 측면 수납 선반에 콘센트 추가구성: 안마기, 찜질기 등 다수 전자기기 사용
● 먼지방지를 위해 덮개 설치
● 먼지방지 솔: 먼지는 방지하되, 손이 들어가기 쉽고, 전선정리에 용이한 구조
● 소켓수: 4~5개
● 전력: 250V~, 16A, 소비전력 2,800W이하로 사용

「 적용 사례 」

「헤드보드 안전 콘센트 사용 모습」 「측면선반 안전 콘센트 사용 모습」

「사용하지 않을 때, 먼지 방지」 먼지방지 솔

「복잡한 전선을 쉽게 정리할 수 있는 형태」
51

3.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디자인

10 야간 보조등

현황 야간 이동 시 낙상을 예방하고 시야를 확보해주는 야간 보조등

● 수면 중 일어나 이동할 때 주변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고 미끄러져 낙상사고
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야간 보조등이 멀리 떨어져 있거나 조작이 어려우면, 이동이 필요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익히는 어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어두워서 보이지 않는 집 안」 「야간에 인지하기 어려운 조명스위치」

권장 방향 ● 밤에 화장실에 가기 위해 일어났을 때에도 쉽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야간 보조등을 설치합니다.

● 동작 감지센서가 삽입된 야간 보조등은 침대에서 일어났을 때, 바로 어르신
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별도의 조작 없이 쉽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합니다.

「어르신이 발을 내리면 자동으로 켜지는 야간 보조등」
52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 조도: 수면을 방해하지 않으며, 주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눈부심이 발생
가이드 하지 않는 조도 (붉은 계열 색온도 약 2000K~3000K 사이 사용)

● ON/OFF: 조도센서와 동작 감지센서 적용

● 배치: 발이 내려오는 위치가 쉽게 인식될 수 있는 위치에 동작 감지센서 배치

발이 내려오는 위치
LED 라이팅

1,014 ~ 1,270

동작 감지센서
인식 범주

[ Top View ]

「 적용 사례 」

「동작 감지센서」 「막대형 하부 야간 보조등」

53

02
소파

장시간 사용에도 신체를 편안하게 지지해주고
안전하게 앉고 일어날 수 있도록 합니다.

1.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① 안전한 높이 ② 편안한 깊이 ③ 등받이 각도
2. 가구 이용 방식을 배려한 디자인
④ 팔걸이 ⑤ 좌방석 너비 ⑥ 발받침
3. 일상을 배려하는 디자인
⑦ 머리받침 ⑧ 접이식 선반 ⑨ 모듈형구조

54

7

4 5 8 9
6
3
2

1

55

1.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디자인

1 소파 높이

현황 편안한 휴식이 가능하며 앉고 일어나기 쉬운 소파 높이

● 소파의 앉는 높이가 몸에 맞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앉아있으면, 오금과 허벅지
사이를 압박하여 혈액순환 장애를 유발합니다.

● 좌식 생활을 하는 분의 경우, 일어나기 어려움으로 활동 반경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높이 높이
210mm 420mm

「어르신의 오금 높이보다 낮은 소파」 「좌식생활」

권장 방향 ● 소파의 높이는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닿으며, 일어날 때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고 적은 힘으로 일어나기 쉬운 높이를 선택합니다.

「어르신 신체에 적합한 소파 높이」
56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 소파 높이 = 좌방석 높이 - 좌방석 쿠션이 가라앉는 높이 (약 400~450mm)
가이드 ● 소파는 좌판 각도가 7도 기울어진 것이 몸이 미끄러지지 않고 아늑함

(※ 기울어진 각도가 너무 큰 경우, 일어나기 어려움)

● 어르신의 신체를 받쳐줄 수 있는 단단한 좌방석 권장
● 좌방석 쿠션: 하단 Hard 쿠션 + 상단 Soft 쿠션의 이중구조로 하단은 단단한

쿠션으로 신체를 받쳐주면서, 몸이 닿는 부분은 부드러운 쿠 션으로 푹신
하도록 함

※ 좌식 생활을 선호하는 분의 경우, 소파는 몸을 지지하고 일어나는 역할로도 활용되며, 다양한
자세를 취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380

좌방석 각도 7°
좌방석 높이 405 445

[ Side View ] [ Front View ]
「 적용 사례 」

「신체를 받쳐주며, 일어나기 편안한 좌방석 기울기」 「어르신의 오금 높이에 맞는 소파 높이」

57

1.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디자인

2 좌방석 깊이

현황 앉으면 등받이 쿠션에 등이 닿아 상체를 편안하게 지지해주는 깊이

● 소파는 앉는 깊이가 깊으면, 좌방석의 앞부분이 오금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방해하며 장시간 사용 시 허리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근력저하로 몸의 반동이 적어진 어르신은 좌방석이 깊으면 몸을 일으키기 어
려운 자세가 됩니다.

560mm

「좌방석이 너무 깊은 소파」

권장 방향 ● 앉는 깊이는 '앉았을 때 등받이 쿠션에 등이 닿는 깊이'로 하여, 앉은 자세가
편안하고 일어나기 쉽도록 합니다. 허벅지 부분의 길이를 고려하여 앉는 깊
이는 약 450mm 정도가 적합합니다.

※ 좌방석 깊이가 큰 450mm
경우, 쿠션을 활용하
여 깊이를 조절한다. 「어르신 신체에 적합한 소파 깊이」

58

가구별 세부 디자인

3 등받이 각도

기대기 편안하고 일어나기 쉬운 등받이 각도와 바른 자세 유지를
위한 허리받침

현황 ● 등받이 각도가 너무 낮거나 높으면, 힘의 분포가 엉덩이에 집중되고 무게 중
심이 뒤로 이동하여 기립 시 많은 근력을 요합니다.

● 소파에 장시간 앉아있을 때, 허리를 받쳐주지 않으면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인해 허리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 목과 어깨에도 부담이 됩니다.

「등받이 각도가 큰 소파」 「허리받침이 없는 소파」

권장 방향 ● 등받이의 각도는 약 110~115° 정도가 기댔을 때 편안하며, 기립 시 무게중심을
이동하기 용이하여 필요한 힘을 줄여줍니다.

● 허리 받침의 위치는 꼬리뼈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을 때 가장 편안하게 몸을
지지하고 앉았을 때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113˚
허리받침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등받이 각도와 허리받침」

59

2. 가구 이용 방식을 배려한 디자인

4 팔걸이

현황 몸을 일으키고 일어날 때 지지하고, 기대기 편한 팔걸이

● 잡고 일어날 요소가 없거나 낮은 높이의 팔걸이는 신체를 지지할 수 없어
무리한 동작을 하게됩니다.

● 둥근 형태의 팔걸이는 미끄러지기 쉬운 구조로 낙상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잡고 일어날 요소가 없는 팔걸이」 「손이 미끄러지기 쉬운 구조의 팔걸이」

권장 방향 ● 팔걸이는 잡기 편한 형태로 하여, 앉고 일어설 때 미끄러지지 않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팔걸이의 상단은 평평한 면으로 하고 하부는 잡기 쉬운 구조로 합니다.

「팔걸이를 지지하고 일어나는 어르신」
60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 팔걸이 형태: 손으로 잡고 당기기 편안한 언더컷(Under-cut) 구조로 잡았을
가이드 때 거부감이 없도록 손의 형상을 반영

● 언더컷 구조 위치: 팔걸이의 정면, 측면 하부
● 팔걸이 깊이: 손으로 잡기 편한 깊이 (약 40mm~120mm)
● 팔걸이 너비: 누르고 지지하기 좋고 몸을 기댔을 때 편안하며 휴대폰, 안경

등 일상용품을 잠시 올려놓을 수 있는 너비 (약 150mm)

120

[ Side View ] [ 팔걸이 깊이 ] 150

[ 팔걸이 너비 ]

「 적용 사례 」

언더컷(Under-Cut) 구조

「잡기 쉬운 팔걸이 형태」 「지지하기 편안한 팔걸이 너비」
61

2. 가구 이용 방식을 배려한 디자인

5 좌방석 너비

현황 앉은 자세를 변경해도 여유 있고 팔을 올려 기대기 편안한 너비

● 좌방석의 너비가 약 700~900mm로 넓은 소파는 팔걸이까지의 거리가 멀어
소파 중앙에 앉을 경우, 균형을 잡거나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 좌방석의 너비가 약 450~530mm인 1인 소파의 경우, 앉으면 양팔이 팔걸이에
닿았을 때 편안합니다.

「좌판 너비가 500mm로 좁은 소파」 「좌판 너비가 900mm로 넓은 소파」

권장 방향 ● 좌방석의 너비는 체중이 증가한 어르신도 넓게 사용할 수 있으며 자세 변경이
가능한 여유공간이 있도록 합니다.

● 앉은 상태에서 팔을 뻗었을 때 편안하게 팔걸이에 팔을 올릴 수 있고, 일어설
때 쉽게 지지할 수 있는 너비가 되도록 합니다.

「팔을 뻗었을 때 편안하게 팔걸이에 팔을 올릴 수 있는 너비」
62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 좌방석 너비: 휴식 중 다양한 자세 변경에도 여유가 있는 너비 팔을 뻗었을
가이드 때, 팔걸이에 팔이 닿는 너비 (약 600mm)

600 600

[ Front View ]

「 적용 사례 」

「좌방석 너비가 여유로운 어르신」

63

2. 가구 이용 방식을 배려한 디자인

6 발받침

현황 혈액순환, 기립 보조, 간이의자 등 다양한 활용성을 가진 발받침

● 어르신은 혈액순환 저하로 쉽게 다리가 부어 짧은 산책 후에도 발받침을 필
요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무거운 발받침은 사용 후, 일어나는데 방
해가 되고 발이 걸려 넘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 장시간 소파 이용 시, 강한 압박이 둔부에 쏠리게 되면서 피로와 불편을 초래
하므로 체압을 분산시켜줄 수 있어야합니다.

「의자 2개를 활용하여 발받침처럼 활용」 「크기가 크고 프레임이 노출되어 있는 발받침」

권장 방향 ● 발받침은 일어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며 쉽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단
에 바퀴가 있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쉽게 밀려 몸이 미끄러 지지 않도록 바
퀴는 일방향으로 움직이게 하고, 무게감이 있도록 합니다.

● 발받침을 소파 높이와 동일하게 하여 필요에 따라 간이의자로 활용합니다.

「발받침에 발을 올리고 있는 어르신」
64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 발받침 높이: 소파 높이와 유사하여, 발을 올려놓기 편안하고 간이의자로도
가이드 사용하기 편안한 높이 (약 400mm)

● 발받침 손잡이 높이: 등받이, 손잡이로 사용하며, 소파에서 기립 시 지지할
수 있는 높이 (약 715mm)

510 560

400
715

* 하단 바퀴 적용
손쉬운 위치 이동

[ Front View ] [ Side View ]
「 적용 사례 」

「발받침을 잡고 일어나는 어르신」 「발받침을 간이의자로 사용하는 어르신」
65

3.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디자인

7 머리받침

현황 편안하게 머리를 기댈 수 있고 높이 조절이 가능한 머리받침

● 장시간 소파에 앉아있는 경우, 머리받침이 없으면 머리와 목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지 못합니다.

「머리받침이 없는 소파」 「쿠션으로 머리받침을 대신하는 어르신」

권장 방향 ● 머리받침은 목과 머리의 형태를 고려하여 장시간 기대있어도 안정적으로 받
쳐줄 수 있도록 합니다.

● 어르신이 소파에서 낮잠을 주무실 경우를 고려하여 머리받침 양옆에 쿠션을
삽입하여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합니다.

● 앉는 위치에 따라 머리받침을 이동하거나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르신의 성향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머리받침에 기대 낮잠을 주무시는 어르신」
66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 머리받침 크기: 머리와 목을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는 높이(약 230mm)
가이드 ● 머리받침 높이 조정: 키에 따라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
● 머리받침 위치 조정: 좌우 슬라이드형으로 쉽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
● 머리받침 탈부착: 답답하게 느끼는 경우를 고려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함
● 옆머리 받침: 오수 시 얼굴을 기댔을 때 받쳐줄 수 있도록 함
● 뒷머리 받침: 머리 뒤쪽에서 지지하며, 푹신한 쿠션으로 지지함
● 목받침: 목의 굴곡에 맞게 단단한 쿠션으로 지지함

뒷머리 받침 230
옆머리 받침

목받침

「 적용 사례 」 「머리받침 높이를 높여 사용하는 모습」
상하이동 67

좌우이동

「머리받침 위치 변경 모습」

3.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디자인

8 접이식 선반

현황 지지용 팔걸이로 이용하거나 다과를 올려둘 수 있는 접이식 선반

● 2~3인용 소파의 경우, 반대쪽 팔걸이가 멀어 어르신이 일어날 때 한쪽으로만
지지하여 손목과 팔에 부담이 갑니다.

● 소파에서 물건을 두기 위하여 별도의 책상을 활용할 경우, 일어났을 때 모서리에
부딪히거나 몸이 걸릴 위험이 있습니다.

「양쪽으로 지지 및 기립이 불편한 소파」 「물컵을 두기 위하여 별도의 책상 필요」

권장 방향 ● 어르신과 방문자 모두 편안하고 자연스럽게 상호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일어날 때는 양쪽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앉아서 쉴 때는 양쪽의 팔걸이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등받이를 접어 선반으로 사용하는 모습」
68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 선반의 높이: 소파에서 일어날 때 양쪽을 누르며 지지할 수 있도록 팔걸이와
가이드 같은 높이 (약 400mm)

● 선반의 너비: 컵, 다과, 물품 등을 안정적으로 올려둘 수 있고 두 사람이 함께
앉아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는 너비 (약 400mm)

*미끄럼 방지 턱

컵홀더에 턱을 적용하여
물컵의 쏟아짐을 방지

400

*미끄럼 방지 소재

컵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실리콘 컵받침 부착

[ Top View ]

*접이식 구조

적은 힘으로 쉽게
내릴 수 있는 접이식 구조

[ Front View ] [ Side View ]
「 적용 사례 」

「일어날 때 양쪽을 지지하는 어르신」 「두 명이 함께 사용하는 모습」

69

3.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디자인

9 모듈형 구조

현황 다양한 주거여건에 따라 크기와 배치 변경이 용이한 모듈형 구조

● 어르신들의 주거 공간에 따라, 배치하기 좋은 가구의 크기가 다르며, 어르신의
신체상태에 따라 활용하는데 필요로 하는 가구에 대한 요구에는 차이가 있
습니다.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4인용 의자」 「많은 사람 방문 시, 앉을 공간이 부족」

권장 방향 ● 협소한 공간에서 거주하시는 경우에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도록
다양한 주거환경에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크기 변경이 용이하도록
합니다.

「모듈형 구조의 소파」
70

가구별 세부 디자인

디자인 ● 모듈형 구조: 1/2/3인용으로 어르신의 가정 내의 환경 및 선호에 따라 크기를
가이드 선택하고 배치할 수 있도록 함

「 적용 사례 」

「1인용」 「2인용」

「발받침」

「3인용」

「4인용」

71

03
공통사항

어르신 가구는 공통적으로 인지하기 쉬운 색상과
따뜻한 느낌의 편안한 소재가 좋습니다.

구성

1. 정서와 감각을 고려한 디자인
① 색상 ② 소재

72

73

1. 정서와 감각을 고려한 디자인

1 색상

현황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쉽고 정서적으로 편안한 색상

● 어르신은 시력감퇴와 함께 색채감각이 저하되어 근소한 색의 변화는 지각하기
어려워집니다.

● 강한 색상대비는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조성하며, 청색계열에 대한 색인지가
저하됩니다.

「검은색 소파를 사용하는 어르신」 「청색계열 소파를 사용하는 어르신」

권장 방향 ● 색약자(색각이상자), 녹내장, 백내장 등 다양한 색각을 가진 이용자를 배려
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알아보기 쉬운 배색을 선택합니다.

● 한색 계열의 색채보다, 식별이 용이한 난색 계열의 색채를 사용합니다.
● 배색의 경우, 색상의 차이가 아닌 색채의 명도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합니다.
● 빛에 반사되어 눈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무광 컬러를 사용합니다.
● 강한 색상대비는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조성하므로 피하도록 합니다.

Pantone 7511U Pantone 7506U
C42 M59 Y73 K1 C5 M14 Y31 K0

「난색 계열의 대비되는 색상」
74

1. 정서와 감각을 고려한 디자인 가구별 세부 디자인

2 소재

현황 따뜻하고 부드러운 질감과 정서적으로 편안한 소재

● 금속 소재는 어르신의 신체를 지지하기에 용이하지만, 차가운 질감은 병원이
나 시설의 느낌을 주어 가정에서 사용할 경우 우울감을 줄 수 있습니다.

● 미끄러운 소재는 지지할 때 낙상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미끄러운 소재의 소파」 「차가운 철재 안전손잡이」

권장 방향 ● 목재, 천연 가죽 등의 자연소재를 사용하여 정서적으로 편안하도록 합니다.
● 어르신의 가구 이용 방식을 고려하여, 사용 중 온몸을 지지할 수 있는 강도

높은 소재로 합니다.
● 잡고 이동할 때 미끄러지지 않으며, 피부에 닿았을 때 따뜻한 소재로 합니다.
● 만일에 있을 안전사고를 대비하여, 방염, 난연 처리된 소재로 합니다.

「방염, 난연 처리된 천연가죽」 「강도 높은 목재」

75

어르신 가구
고르기

침대·소파

어르신에게 적합한 가구를 선택하기 위해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확인
합니다.

76

1. 가구 사용 능력 체크하기 78
2. 사용 중인 가구 체크하기 82
3. 어르신에게 맞는 가구 고르기 84
4. 가구 사용 시나리오 88

77

1. 가구 사용 능력 체크하기

균형 감각

준비하기 어르신, (보호자), 체크리스트
팔걸이 있는 의자 1, 팔걸이 없는 의자 1, 시간 측정도구(휴대폰 혹은 시계)

체크방법 1. 어르신 혼자서 동작을 하나씩 시도해 보세요.
2. 보호자가 어르신의 동작을 관찰하고, 가능한 방식을 확인해 주세요.
3. 총점수를 통하여, 어르신 가구에 필요한 요소를 확인해 주세요.

※ 유의 사항
1. 의자 주변에 방해가 되는 물건들을 모두 정리한 후, 안전한 공간에서 진행합니다.
2. 어르신이 힘드시면 언제든 멈추고 가능하실 때 다시 이어서 진행합니다.
3. 빨리 하는 것보다 천천히 안전하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균형감각 Q.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아보세요.
체크리스트
팔걸이를 사용하지 않고 안전하게 앉을 수 있다. (4점)
손으로 팔걸이를 짚어 갑작스레 앉게 되는 것을 조절한다. (3점)
다리를 의자에 기대어, 갑작스레 앉게 되는 것을 조절한다. (2점)
혼자서 앉을 수 있지만, 갑작스레 앉게 되는 것을 조절할 수 없다. (1점)
앉을 때 다른 사람의 보조가 필요하다. (0점)

Q.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다시 일어서 보세요.

팔걸이 사용 없이 혼자서 안정적으로 일어설 수 있다. (4점)
팔걸이를 사용하여 혼자서 일어설 수 있다. (3점)
팔걸이를 사용하여 몇 번의 시도 후에 일어설 수 있다. (2점)
일어날 때, 안정을 위하여 최소한의 보조가 필요하다. (1점)
일어서기 위해서는 보통 또는 최대한의 보조가 필요하다. (0점)

※ Catherine Berg가 노인의 낙상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1989년에 개발한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 BBS)의 동작들을 응용하여 항목을 구성

78

어르신 가구 고르기

Q.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서 팔걸이가 없는 의자로 이동하세요.

손을 사용하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4점)
손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3점)
보호자의 설명에 도움을 받아 이동할 수 있다. (2점)
한 사람의 신체적인 보조가 필요하다. (1점)
두 사람의 신체적인 보조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0점)

Q. 의자에 등을 기대지 않고 팔짱을 끼고 2분간 바른 자세로 앉아 있으세요.

2분간 안전하게 앉아 있을 수 있다. (4점)
보호자가 지켜보는 상태에서 2분간 앉아 있을 수 있다. (3점)
30초간 앉아 있을 수 있다. (2점)
10초간 앉아 있을 수 있다. (1점)
지지 없이는 10초간 앉아 있을 수 없다. (0점)

Q. 지지하지 않고 2분간 서 있으세요.

2분간 안전하게 서 있을 수 있다. (4점)
보호자가 지켜보는 상태에서 2분간 서 있을 수 있다. (3점)
지지 없이 30초간 안전하게 서 있을 수 있다. (2점)
지지 없이 30초간 서 있기 위해 몇 번의 시도가 필요하다. (1점)
보조 없이 30초간 서 있을 수 없다. (0점)

결과활용 4점 만점의 5개 항목으로 총 20점 만점입니다.

15~20점 균형감이 아주 좋아요. 하지만, 가구의 크기가 맞지 않아
8~14점 일어날 수 있는 만일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 인체 치수에
맞는 가구를 사용하는 게 좋습니다.

안전을 위해 보조 요소가 있는 가구를 사용하는 게 좋아요.
디딤 요소가 있는 가구를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5점 이하 안전을 위한 보조 요소가 필요해요.
소파 팔걸이·침대 안전 손잡이 등 보조 요소들이 필요해요.

79

1. 가구 사용 능력 체크하기

낙상 두려움

준비하기 어르신, (보호자), 체크리스트

체크방법 1. 각 항목의 내용을 어르신에게 질문하세요.
2. 어르신의 답변을 듣고 알맞은 내용에 체크하세요.
3. 총점수를 통해 어르신을 위해 개선이 필요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 유의 사항

1. 어르신에게 질문을 할 때는 '혼자 의자에서 일어날 때, 넘어질 것 같은 경험이 있으
세요?', '밤에 화장실 갈 때 잘 안 보여서 무서웠던 적이 있나요?'와 같이 어르신이
이해하기 편한 말로 질문해주세요.

2. 어르신이 충분히 생각해보신 후 답변 할 수 있도록 여유를 가지고 질문해주세요.

낙상두려움 [ 의자에서 앉고 일어서기 ]
체크리스트 Q. 혼자 의자에서 일어날 때, 넘어질 것 같은 경험이 있으신가요?

의자에서 앉고 일어설 때 넘어질까 봐 걱정해본 적이 전혀 없다. (4점)
의자에서 앉고 일어설 때 넘어질까 봐 걱정해본 적이 거의 없다. (3점)
의자에서 앉고 일어설 때 넘어질까 봐 가끔 걱정된다. (2점)
의자에서 앉고 일어설 때 넘어질까 봐 항상 걱정된다. (1점)

Tinetti 등이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낙상 두려움을 평가하기 위해 1990년에 개발한
낙상효능척도(Fall Efficacy Scale)의 일부내용을 응용하여 항목을 구성

80

어르신 가구 고르기

[ 침대에 눕거나 일어나기 ]
Q. 혼자 침대에서 주무시거나 일어날 때, 떨어질까 봐 걱정해본 경험이 있으

신가요?

침대에서 눕거나 일어날 때 떨어질까 봐 걱정해본 적이 전혀 없다. (4점)
침대에서 눕거나 일어날 때 떨어질까 봐 걱정해본 적이 거의 없다. (3점)
침대에서 눕거나 일어날 때 떨어질까 봐 가끔 걱정된다. (2점)
침대에서 눕거나 일어날 때 떨어질까 봐 항상 걱정된다. (1점)

[ 밤에 화장실 가기 ]
Q. 밤에 화장실에 갈 때 안보여서 무서웠던 적이 있나요?

밤에 화장실을 가다가 넘어질까 봐 걱정해본 적이 전혀 없다. (4점)
밤에 화장실을 가다가 넘어질까 봐 걱정해본 적이 거의 없다. (3점)
밤에 화장실을 가다가 넘어질까 봐 가끔 걱정된다. (2점)
밤에 화장실을 가다가 넘어질까 봐 항상 걱정된다. (1점)

결과활용 4점 만점의 3개 항목으로 총 12점 만점입니다.

의자 앉고 일어나기 양쪽 팔걸이가 있는 소파를 사용하시는 것이 어르신
3점 미만 에게 안전합니다.

침대에 눕거나 일어나기 침대에 눕거나 일어나는 것을 도와줄 수 있는 안전
3점 미만 손잡이를 설치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밤에 화장실 가기 밤에 화장실을 갈 때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침대
3점 미만 하부에 야간 보조등을 설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81

2. 사용 중인 가구 체크하기

침대

총 15개 항목 ㅣ 3개 이하 (미흡), 7개 (적정), 12개 이상 (우수)

체크리스트 체크

● 침대에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닿는다.
● 침대에 누웠을 때 허리가 뜨지 않는다.
● 침대 크기가 여유 공간이 있어 잠을 자다가 뒤척거려도 낙상의 위험이 없다.
● 눕거나 일어날 때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또는 가구가 침대 주변에 있다.
● 침대 주변이 정돈되어 있어 발이 걸릴 위험이 없다. (전선, 물건 등)
● 침대 하단에 돌출된 부분이 없다.
● 침대의 각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있다.
● 야간 이동을 고려하여 침대에 보조등이 설치되어 있다.
● 침대에 삽입된 기능의 조작이 쉽다. (침대 조명, 수납공간 등)
● 침대 밑에 발이 안정적으로 들어간다.
● 침대의 프레임이 나무, 천, 가죽 등 따뜻한 소재이다.
● 침대의 소재는 오염되었을 때, 쉽게 청소가 가능한 소재이다.
● 침대의 소재가 방염, 난연 처리가 되어 있는 소재이다.
● 침대 색상과 바닥 색상이 대비되어 침대를 쉽게 인지할 수 있다.
● 침대의 색상이나 형태가 단순하다.

82

어르신 가구 고르기

소파

총 15개 항목 ㅣ 3개 이하 (미흡), 7개 (적정), 12개 이상 (우수)

체크리스트 체크

● 소파에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닿는다.
● 소파 등받이에 허리를 대고 앉았을 때 오금이 소파 좌방석에 닿지 않는다.
● 소파 좌방석의 너비가 몸을 움직여도 여유 있는 너비이다.
● 소파 등받이는 기대었을 때 허리에 부담이 가지 않는 깊이이다.
● 소파에서 일어날 때 잡고 일어날 수 있는 팔걸이가 있다.
● 소파 팔걸이의 너비가 팔을 기댈 수 있는 너비이다.
● 소파 등받이에 허리를 지지해주는 허리 받침이 있다.
● 소파 등받이에 머리를 지지해주는 머리 받침이 있다.
● 소파에 앉아 다리를 올려둘 수 있는 발받침이 있다.
● 소파 밑에 발이 안정적으로 들어갈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있다.
● 소파의 모서리가 둥근 형태로 되어 있다.
● 소파 쿠션이 분리되어 오염 시 청소가 가능하다.
● 소파 및 쿠션의 모양이나 색상이 단순하다.
● 팔걸이 및 좌방석이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이다.
● 방염, 난연 처리가 되어 있는 소재이다.

83

3. 어르신에게 맞는 가구 고르기

침대

58

4
9 76

2

1

3 10

체크 항목 어르신 침대를 구매하게 될 시,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할 구성요소입니다.

1. 침대 높이 2. 매트리스 3. 하부공간

4. 안전손잡이 5. 밀림 방지 가드 6. 헤드보드

7. 침대넓이 8. 수납선반 9. 안전 콘센트

10. 야간보조등

84

어르신 가구 고르기

구분 요소 별 체크리스트 체크

1. 침대 높이 ● 침대에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안정적으로 닿나요?

2. 매트리스 ● 매트리스에 누웠을 때 허리가 뜨지는 않나요?
● 매트리스에 누웠을 때 압박감이 느껴지는 곳은 없나요?
● 평소 관절염, 허리통증 등의 질환을 가지고 있나요?

(※ 질환이 있는 경우 바닥에 깔고 자는 요 위에 누워있는 정도를 추천)

3. 하부공간 ● 침대 하부에 발이 안정적으로 들어가나요?

4. 안전 손잡이 ● 손잡이를 움켜잡았을 때 손잡이가 손에 전부 들어오나요?
● 침대 내에서 몸을 이동하거나 일어날 때 충분한 활용이 가능한가요?
● 손잡이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나요?
● 손잡이가 누운 상태에서 팔을 뻗어 잡을 수 있는 높이인가요?
● 손잡이가 서서 허리를 숙이지 않고 잡을 수 있는 높이인가요?

5. 밀림 방지 가드 ● 매트리스 밀림을 방지하는 가드가 있나요?
● 밀림 방지 가드는 필요시 줄을 걸기에 용이한 형태인가요?

6. 헤드보드 ● 헤드보드 높이가 답답하게 느껴지지는 않나요?
● 헤드보드에 머리를 부딪혀도 안전한 소재인가요?

7. 침대 너비 ● 침대에서 수면 중 뒤척거림에도 떨어질 위험이 없는 너비인가요?
● 침대가 어르신 방의 크기에 맞는 너비인가요?

8. 수납선반 ● 침대에서 사용하는 물품들을 보관할 수 있는 선반이 있나요?
● 선반 위에 큰 물품을 올려도 안전한 구조인가요?

9. 안전 콘센트 ● 콘센트에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가 있나요?
● 침대에서 자주 사용하는 전자제품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나요?

10. 야간 보조등 ● 야간 보조등의 밝기가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 밝기인가요?
● 야간 보조등을 켰을 때 시야 확보가 충분한가요?
● 야간 보조등에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센서가 있나요?

85

3. 어르신에게 맞는 가구 고르기

소파

7

3 8
4
5
2 6

1

체크 항목 어르신 소파를 구매하게 될 시,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할 구성요소입니다.

1. 소파 높이 2. 소파 깊이 3. 편안한 각도

4. 팔걸이 5. 좌방석 넓이 6. 발받침

7. 머리받침 8. 접이식 선반

86

어르신 가구 고르기

구분 요소 별 체크리스트 체크

1. 안전한 높이 ● 소파에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닿는 높이인가요?

2. 편안한 깊이 ● 소파에 앉으면 등받에 등에 닿나요?
● 등받이에 허리를 대고 앉았을 때 무릎이 불편하지 않나요?

3. 등받이 각도 ● 등받이가 등을 받쳐주며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각도인가요?
● 등받이에 허리를 대고 앉았을 때 허리 부분에 쿠션이 있나요?
● 등받이에 허리를 기대었을 때 안정감이 있나요?

4. 팔걸이 ● 팔걸이에 팔을 기대기 편안하며 기립에 도움이 되도록 견고한가요?
● 팔걸이 끝을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팔걸이 하부 공간이 있나요?
● 팔걸이에 팔을 기대었을 때 팔이 빠져나오지 않는 너비인가요?
● 팔걸이를 잡고 일어날 때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인가요?

5. 좌방석 너비 ● 좌방석에 앉아서 몸을 움직일 때 여유 공간이 있나요?
●좌방석에 앉아 양팔을 뻗었을 때 양쪽으로 지지할 요소가 있나요?

6. 발받침 ● 발받침에 발을 편안하게 올리고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한가요?
7. 머리받침 ● 발받침을 쉽게 이동할 수 있나요?
● 발받침의 높이가 의자로도 활용할 수 있는 높이인가요?
● 의자로 활용 시 발받침 손잡이에 등을 기댈 수 있나요?

● 머리받침이 머리를 기대고 장시간 사용해도 목에 부담이 없나요?
● 머리받침이 개인의 선호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한가요?
● 머리받침에 기대어 움직여도 머리를 잡아 줄 수 있는 쿠션이 있나요?

8. 접이식 선반 ● 접이식 선반을 일상생활에서 활용하기에 편리한가요?
● 선반 위에 물건을 올려도 떨어지지 않고 안전한가요?
● 접이식 선반을 팔걸이로 활용해도 견고한가요?
● 접이식 선반을 쉽게 올리고 내릴 수 있나요?
● 선반 위에 미끄러지지 않을 수 있는 미끄럼 방지요소가 있나요?
● 접이식 선반의 위치가 양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위치인가요?

87

4. 가구 사용 시나리오

침대

침대에 눕기
침대로 다가가 손잡이를 잡고 안전하게 침대에 누울 수
있습니다.

핸드폰 충전하기
헤드보드에 있는 안전 콘센트에 핸드폰 충전기를 연결합
니다.

수면 중 뒤척이기
손잡이와 측면에 선반이 있어 수면 중 뒤척여도 낙상
위험이 적습니다.

야간 이동
침대 밑으로 발을 내리면 야간 보조등이 켜져 밤에도
안전하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88

어르신 가구 고르기

침대에서 일어나기
손잡이를 잡고 몸을 쉽게 일으켜 세울 수 있습니다.

일어나 휴식하기
침대 헤드보드에 기대어 앉아서 손잡이를 잡고 안전하게
휴식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침대에서 일어서기
안정적으로 바닥에 발을 딛고 손잡이를 잡고 누르면서
침대에서 안전하게 일어설 수 있습니다.

이동하기
일어난 후에도 높은 손잡이를 잡고 이동하여 균형을
잃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89

4. 가구 사용 시나리오

소파

몸을 일으키기
팔걸이를 잡고 당겨서 적은 힘으로 안전하게 일으켜 세울
수 있습니다.

일어나기
팔걸이와 접이식 선반을 누르면서 몸을 세워 안전하게
일어납니다.

균형 잡기
몸을 완전히 일으켜 세우면서 발받침의 손잡이를 잡고
균형을 잡을 수 있습니다.

이동하기
안정적으로 일어난 후 이동

90

어르신 가구 고르기

기대어 휴식하기
장시간 소파에 기대어 앉아 있어도 허리받침과 머리받침이
몸을 지지해주어 편안합니다.

낮잠자기
발받침에 발을 올리고 머리받침에 머리를 편안히 기대고
앉아서 가벼운 낮잠을 잘 수 있습니다.

간단한 간식 먹기
접이식 선반 위에 차·다과를 올려두고 여유롭게 책을
읽으며 휴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지인들과 대화하기
집에 방문한 지인들과 함께 앉아 접이식 선반을 사이에
두고 기대어 앉아 대화할 수 있습니다.

91

부록

92

01 기타 가구 체크리스트 94
02 가구 도면 96
03 참고 문헌 100

93

기타 가구 체크리스트

1. 식탁 · 책상 총 9개 항목 | 3개 이하 (미흡), 5개 (적정), 8개 이상 (우수)

2. 의 자 총 12개 항목 | 3개 이하 (미흡), 7개 (적정), 10개 이상 (우수)

3. 수 납 장 총 12개 항목 | 3개 이하 (미흡), 7개 (적정), 10개 이상 (우수)

구분 체크리스트 체크

1.식탁 · 책상 ● 식탁의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 있다.
● 식탁을 짚고 일어날 때 넘어질 위험이 없다.
● 식탁의 주변 전선이 정돈되어 걸릴 위험이 없다.
● 식탁에서 일어날 때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또는 주변 가구가 있다.
● 식탁 또는 식탁보 등이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이다.
● 식탁의 소재가 가죽, 나무 등 따뜻한 소재이다.
● 오염 시 쉽게 청소가 가능한 소재이다.
● 바닥 색상과 식탁 색상이 대비되어 식탁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 식탁 또는 식탁보 등의 색상이나 모양이 단순하다.

2. 의자 ● 의자에 앉았을 때 발이 바닥에 닿는다.
● 의자에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가 있다.
● 의자에 몸을 지지해줄 수 있는 팔걸이가 있다.
● 의자의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 있다.
● 의자의 등받이와 좌판에 쿠션이 있다.
● 의자 주변에 일어날 때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또는 가구가 있다.
● 의자를 혼자서 넣고 꺼낼 수 있다.
● 팔걸이가 있는 경우 의자가 책상 또는 식탁 밑으로 들어갈 수 있다.

94

부록

구분 체크리스트 체크

3. 수납장 ● 오염 시 쉽게 청소가 가능한 소재이다.
● 의자의 소재가 나무, 가죽, 천 등 따뜻한 소재이다.
● 의자 프레임이 미끄러지지 않는 소재이다.
● 의자의 색상이 주변 가구나 바닥 색상과 대비되어 쉽게 인지할 수 있다.

● 수납장 맨 위 칸까지 안정적으로 손이 닿는다.
● 수납장 문을 쉽게 여닫을 수 있다.
● 수납장 문을 여닫을 때 한 손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 수납장 모서리가 둥글게 되어 있다.
● 수납장 안에 있는 물건을 한눈에 볼 수 있다.
● 수납장 안쪽까지 손이 닿아 물건을 쉽게 꺼낼 수 있다.
● 수납장을 여닫을 때 손이 끼일 위험이 없다.
● 수납장에 유리와 같은 깨질 수 있는 소재가 없다.
● 수납장의 소재가 나무와 같은 따뜻한 소재이다.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장의 경우, 높이 조절 방법이 단순하다.
● 수납장의 색상이나 모양이 단순하다.
● 수납장 색상과 벽의 색상이 대비되어 수납장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95

270 1400 도면 [침대] 4구 안전 콘센트
R 60
1260 특허 출원번호_침대 : 10-2021-0127120 하부 스토퍼
28096

애쉬 원목 가공

2구 안전 콘센트

[Top View] [Perspective]

270 2270 280
250 2000 40 43 150 87

20 슈퍼싱글 매트리스 H 270
[Side View]
760 침대 하부 (애쉬 무늬목 마감) 730
143 642 118 [Front View] 145 585
93 50 481 18
362 18
380

1900 도면 [소파]

150 600 400 600 150

25 550 25

446 220 570 282 450
113˚

1072 540 30

406

[Front View] [Side View]

600 400 600

특허 출원번호_소파 : 10-2021-0127121 149 279 172 400 172 279 149
97
등받이 고정끈 부착
좌.우 대칭 제작

852 145 138 20

563 196 65

260

[Front View] [Side View]

부록

98

특허 출원번호_소파 : 10-2021-0127121

195 715 45
150 470
120 75 640
250 40 560 40

74 51 [Top View] 510
[Front View] R25 R6

캐스터 삽입

R6

[Side View]

150 45 205
195 400 710

310

도면 [발받침]

부록
99

참고문헌

학위논문 저자 발행기관

제목 안은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현자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상태 및 사회적 지지와 노인 우울간의 관계 백지훈 금오공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침대 매트리스의 인체적합성 평가 배희우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리프팅 기울기 각도를 고려한 무동력 기립보조의자 설계 연구 원슬기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소방대상물의 화재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염제도 및 시험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여현진 금오공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고령자 주거시설의 조명방법론 개발 및 적용 방안
고령자의 기립∙ 착석을 보조하기 위한 무동력 기립보조의자 개발연구

학술논문

제목 저자 발표학회

주거시설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활동실태조사 및 불편 설계요소 개선 절차 제안 김충식 외 3명 대한인간공학회지
대한의사협회지
노년기의 정의와 노화의 생리적 변화 장철호 외 2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연령집단에 따른 노인의 허약(Frailty) 예측요인 분석 조성은 외 4명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가구학회지
재가 허약노인을 위한 운동 이재현 한국가구학회지
감성과학
국내 소파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류숙희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국내 가구업체를 중심으로 한 침대 디자인 경향에 관한 연구 강신우, 조숙경 한국화재소방학회
한국화재소방학회
노약자를 위한 침대의 매트리스에 관한 연구 이세환 한국과학예술포럼
조형디자인연구
침대의 수면자세에 따른 체압분포의 특성 박세진, 김진선 외 5명
기초조형학회
에르고노믹스 기술을 도입한 고령자 안락의자 개발 안영명, 김명희, 이종희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The Journal of Bone & Joint Surgery
둔부의 압력분포 비교를 이용한 고령자용 기립보조의자의 기립 최적각도 제안 장성호, 백지훈 외 4명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대한내과학회지
냉각프레임 설치 유무에 따른 스프링 침대 매트리스의 화재성상에 관한 연구 서보열, 박계원, 홍원화 대한신경치료학회
보건연구정보센터
방염처리 방법에 따른 MDF 목재의 방염성능에 관한 연구 차정민 외 3명 한국색채학회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고령자 인식 및 시설 내부 색채선호 경향에 관한 연구 정무린, 박혜경

해외 노인요양시설의 가구 디자인 특성 비교 분석을 통한 국내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최기

-가구 디자인 개발 방안 연구

실버세대를 위한 의료용 기능성 침대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장석, 진은미, 강현준

고령자를 위한 주거시설 조명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원슬기, 박병철, 최안섭

Alterations of the lumbar curve related to posture and seating Keegan, J. J

치매요양시설에서의 치료를 위한 빛 · 색채의 시설적 적용 특서엥 관한 고찰 지수인

노인질환의 특징 김철호

고령자의 신체 기능이 균형 제어에 미치는 영향 이경순

한국어판 낙상 효능 척도와 활동 특이적 균형 자신감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장숙랑 외 4명

고령자를 배려한 유니버설디자인의 색채 가이드라인 구축 전은정

100


Click to View FlipBook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