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words you are searching are inside this book. To get more targeted content, please make full-text search by clicking here.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 피난 및 방화규칙 관련

Discover the best professional documents and content resources in AnyFlip Document Base.
Search
Published by , 2017-05-23 22:56:15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 피난 및 방화규칙 관련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 피난 및 방화규칙 관련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내화구조 및 방화구획

건축물 차원의 방화요건

건축안전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법」이 가장 크게 염두에 두는 위험은 화재다. 따라서 건축법(「건축법」,
동법 시행령, 동법 시행규칙 및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은 화재를 예방하고
그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들을 건축물의 용도 및 건축규모 등에 따라 건축허가요건으로 정하고 있
다.

건축물의 방화요건 규정체계 Ⓒ이재인
방화요건은 연면적이 1,000㎡ 이상인 건축물에 집중하여 관리하고 있다. 목적상으로는 ①화재의 예방,
②확산방지로 구분하고 있고, 구조적 차원에서는 ①내화구조와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 ②내화구조가 아
닌 건축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방화요건 규정은 내용상으로 볼 때, ①내화구조 건축물의 방화구획의 설치, ②내화구조가 아닌 1,000㎡
이상의 대규모 건축물의 관리, ③건축물 차원: 실내ㆍ외 마감재료의 제한, ④도시차원: 방화지구 안의 건

축물 관리 규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건축법」의 방화규정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내화
구조와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의 불연화를 목표로 한다.

내화구조의 요건

내화구조(Fireproof Structure)란 건축물의 구조부가 화재 시 일정 시간 동안 구조적으로 유해한 변형1)
없이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등의 구조를 말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이란 건축규모에 따라 사람들이 안전한 곳까지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1~3시간 정도를 의미
한다.
‘내화구조(耐火構造)’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로서 국토교통부령 (피난방화규칙 제3조)
으로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를 말한다.
<「건축법 시행령」 제2조 제7호>

내화구조(피난방화규칙 제3조 참조) Ⓒ이재인
이러한 대피성능을 감안하여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이하, 피난방화규칙)에
서는 내화구조에 관해, 건축물의 구조요소별로 구조방식에 따라 두께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바닥(slab)의 경우,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로 건축한 경우는 두께를 10㎝ 이상으로
하고,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벽돌조 또는 석조로서 철재에 덮은 콘크리트블록 등은 두께를 5㎝
이상으로 해야 하며, 철재의 경우는 양면을 두께 5㎝ 이상의 철망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덮은 것으
로 시공하도록 하는 요건이 각각 규정되어 있다(피난방화규칙 제3조).

모든 건축물이 내화구조로 건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문화 및 집회시설
이나 공동주택, 화재 시 도움을 받아야 하는 등 대피가 곤란한 사람들이 있는 의료시설 등의 경우는 건

축규모 등에 따라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건축 중 주요구조부 이미지 참조)를 반드시 내화구조로 하여
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2)(「건축법」 제50조 제1항 및 동법시행령 제56조 참조).

1,000㎡ 이상인 내화구조 건축물의 화재확산 방지: 방화구획 설치

방화구획의 개념 Ⓒ이재인
방화구획(fire-fighting partition)은 화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특정 부분과 다른 부분을
내화구조로 된 바닥, 벽 또는 갑종 방화문3)(자동방화셔터 포함)으로 구획하는 것이다. 주요구조부가 내
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연면적이 1,000㎡를 넘는 것은 방화구획을 하여야 한다(「건축
법」 제49조 제2항, 동법시행령 제46조 제1항).

방화구획의 설치기준의 개념(피난방화규칙 제14조 제1항 참조) Ⓒ이재인
방화구획의 설치기준은 층수 규모에 따라 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① 10층 이하의 층
바닥면적 1,000㎡(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3,000
㎡) 이내마다 구획 + 층마다 구획
② 3층 이상의 층과 지하층
층마다 구획. 다만 지하 1층에서 지상으로 직접 연결하는 경사로 부위는 제외한다. 여기서 층마다 구획
한다는 의미는 일반적으로 볼 때, 아래층과 위층이 연결되어 있는 계단실에 반드시 갑종 방화문이 설치
되어야 한다는 것을 상정해 볼 수 있다.

층마다 구획의 개념 Ⓒ이재인
③ 11층 이상의 층

바닥면적 200㎡(스프링클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600㎡) 이내마다 구
획. 다만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는 부분의 마감을 불연재료로 한 경우에는 바닥면적 500㎡(스프링클
러, 기타 이와 유사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에는 1,500㎡) 이내마다 구획 + 층마다 구획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로서 연면적이 1,000㎡를 넘는 것은 바닥면적에 따
라 반드시 방화구획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사용성에 있어 방화구획으로 공간과 공간을 막으면 건축물
이용에 장애가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한 가구가 1층과 2층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계획한 복층형
공동주택,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부분처럼 아래위층을 막을 수 없는 경우, 주차장 및 건축물의 최상층에
설치한 대규모 회의장·강당·스카이라운지·로비처럼 막히지 않은 대형공간이 필요한 경우 등이 있다. 이
러한 공간의 경우는 방화구획의 설치기준을 완화하여 적용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건축법 시행
령」 제46조 제2항).

12

1 방화구획 설치기준을 완화하여 적용받을 수 있는 건축물 최상층의 스카이 라운지 <출처: (CC BY-SA)
MatthiasKabel @Wikimedia Commons>
2 막히지 않은 대형공간이 필요하여 방화구획 설치기준을 완화하여 적용받을 수 있는 대형지하주차장 <출처:
(CC BY) Omar Bá[email protected]>

참고문헌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주석
1
예를 들어 폭렬현상(spalling phenomenon)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 건축물은 철골을 콘크리트가 둘러싼
방식으로 건축되는데, 화재 시 발생하는 열은 콘크리트 내부의 수증기압을 상승시킨다. 이때 콘크리트
의 강도가 수증기압보다 낮으면 골조를 감싸고 있는 콘크리트가 터져 열이 골조로 전달되어 녹아내리
게 되고 건축물이 무너져 내리게 된다. 이러한 것을 폭렬현상이라 한다.
2
다만 연면적이 50㎡ 이하인 단층의 부속건축물로서 외벽 및 처마 밑면을 방화구조로 한 것과 무대의 바
닥은 내화구조로 하지 않아도 된다. <「건축법 시행령」 제56조 제1항 단서조항>
3
방화문은 갑종 방화문과 을종 방화문이 있다. 갑종 방화문은 비차열(非遮熱: 화재로 인한 열은 막지 못
하지만 화염은 막음) 1시간 이상, 차열(遮熱: 화재로 인한 열도 막음) 30분 이상의 성능을 지니며, 을종
방화문은 비차열 30분 이상의 성능이 확보된 문을 말한다.

건축허가요건

출처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글 이재인| 명지대 건축대학 교수
‘건축 어렵지 않아요’라는 말을 글로 옮겨가고 있다. 저역서로는 『건축 속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르 코르
뷔지에 건축가의 길을 말해줘』,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세계의 건축물』, 『다빈치의 위대한 발명품』 등이
있다. 현 서울시, 공공건축가(MA&MP)로 활동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방화구조와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

1,000㎡ 이상 대규모 건축물의 방화요건

「건축법」은 건축물의 방화요건을 2가지 개념으로 규정하고 있다. 첫째는 건축물이 일정 시간 화재에 견
디도록 하는 것1)(※내화구조 및 방화구획 참조)과 둘째는 화염의 인근 확산을 막을 수 있는 성능(방화구
조)에 관한 것이다.

방화규정의 개념 Ⓒ이재인
또한 「건축법」은 규모 측면에서 연면적 1,000㎡ 이상을 방화상 위험한 건축물로 판단하고 있다. 그래서
1,000㎡ 이상인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은 방화구획을 하도록 규
정하고 있으며,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가 아닌 1,000㎡ 이상 건축물(대규모 건축물)의 경
우는 1,000㎡ 미만으로 방화벽을 설치하도록 하여 화재확산을 방지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나아가
1,000㎡ 이상의 대규모 목조건축물은 연소(延燒)할 우려가 있는 부분을 설정하여 화재안전을 도모하도
록 규정하고 있다.

건축물 구조방식에 따른 건축물 방화규정 Ⓒ이재인

방화벽

방화벽이 설치된 건축물 <출처: (CC BY-SA) Ben Schumin@Wikimedia Commons>
연면적이 1,000㎡ 이상인 건축물로서,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거나 불연재료가 아닌 건축물의 경우
인근 건축물로의 화염확산 방지를 위해 1,000㎡ 미만으로 방화벽(Firewall)을 구획하도록 규정하고 있
다.2)

방화벽의 구조 Ⓒ이재인
방화벽의 구조는 ①내화구조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여야 하며, ②방화벽의 양쪽 끝과 위쪽 끝을 건축
물의 외벽면 및 지붕면으로부터 0.5m 이상 튀어나오게 하여야 하고, ③방화벽에 설치하는 출입문의 너
비 및 높이는 각각 2.5m 이하로 하고, 해당 출입문에는 갑종 방화문3)을 설치해야 한다(피난방화규칙 제
21조).

대규모 목조건축물의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 하천이 인접한 경우 Ⓒ이재인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 도로 건너편에 하천이 인접한 경우 Ⓒ이재인
연면적이 1,000㎡ 이상인 건축물을 목조로 건축할 경우 ①외벽 및 처마 밑의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
은 방화구조로 하고, ②지붕은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건축법 시행령」 제57조 제3항 및 피난방화규
칙 제22조).

방화구조(피난방화규칙 제4조)
① 철망모르타르로서 그 바름 두께가 2㎝ 이상인 것
② 석고판 위에 시멘트모르타르 또는 회반죽을 바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5㎝ 이상인 것
③ 시멘트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인 것으로서 그 두께의 합계가 2.5㎝ 이상인 것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이라 함은 인접대지경계선·도로중심선 또는 동일한 대지 안에 있는 2동 이상
의 건축물(연면적 합계가 500㎡ 이하인 건축물은 하나의 건축물로 본다) 상호 외벽 간의 중심선으로부

터 1층에 있어서는 3m 이내, 2층 이상에 있어서는 5m 이내의 거리에 있는 건축물의 각 부분을 말한다.
다만 공원·광장·하천의 공지나 수면 또는 내화구조의 벽, 기타 이와 유사한 것에 접하는 부분을 제외한
다.
연면적 1,000㎡ 이상인 대규모 목조건축물의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의 확인과 조치 관련규정은 대규
모 목조건축물을 방화구조 및 불연재료로 건축하게 하려는 목적보다는, 대규모 목조건축물이 화재 특성
상 인근 확산의 우려가 있으니 3~5m 이상 이격(離隔)하여 건축할 수 있도록 유도하려는 규정이다.

소방시설과 연소 우려가 있는 구조

옥외소화전 <출처: (CC BY-SA) Ben Schumin
@Wikimedia Commons>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은 「건축법」에서 연면적 1,000㎡ 이상인 대규모 목조건축물을 대상으로 하는
내화ㆍ방화구조 요건인 반면, 유사 용어로 ‘연소 우려가 있는 구조’는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소방시설법)4)에서 규정하는 소방시설의 설치를 규정하기 위한 개념이
다.
소방시설법에서는 소방시설(①소화설비, ②경보설비, ③피난설비, ④소화용수설비, ⑤소화활동설비)을
설치하여야 하는 소방대상물을 ‘특정소방대상물’5)이라는 별도의 건축물 용도분류체계(30개 대분류)6)를
통해 정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축물에 설치하여야 하는 소방시설의 종류가 다르게 규정되어 있다.
옥외소화전 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아파트 등, 위험물 저장 및 처리시설 중 가스시설,
지하구 또는 지하가 중 터널은 제외한다)은 다음의 어느 하나와 같다.
① 지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9,000㎡ 이상인 것. 이 경우 같은 구(區) 내의 둘 이상의 특정
소방대상물이 총리령으로 정하는 연소(延燒) 우려가 있는 구조인 경우에는 이를 하나의 특정소방대상
물로 본다.
② 「문화재보호법」 제23조에 따라 보물 또는 국보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③ ①에 해당하지 않는 공장 또는 창고시설로서 「소방기본법 시행령」 별표 2에서 정하는 수량의 750배
이상의 특수가연물을 저장·취급하는 것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5] 제1호 사목>
‘연소 우려가 있는 구조’는 소화설비(①소화기구, ②자동소화장치, ③옥내소화전설비, ④스프링클러설
비, ⑤간이스프링클러설비, ⑥물분무등소화설비, ⑦옥외소화전설비) 중 옥외소화전 설비를 설치해야 하

는 대상에 해당하며, 하나의 대지에 2동 이상의 건축물이 마주보고 있을 경우 건축물의 층수에 따라 마
주보는 개구부의 거리를 기준으로 규정하고 있다.

연소 우려가 있는 구조 ⓒ이재인
‘총리령으로 정하는 연소(延燒) 우려가 있는 구조’란,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모두 해당하는 구조를 말한
다.
① 건축물대장의 건축물 현황도에 표시된 대지경계선 안에 둘 이상의 건축물이 있는 경우
② 각각의 건축물이 다른 건축물의 외벽으로부터 수평거리가 1층의 경우에는 6m 이하, 2층 이상의 층
의 경우에는 10m 이하인 경우
③ 개구부(영 제2조 제1호에 따른 개구부를 말한다)가 다른 건축물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
<소방시설법 시행규칙 제7조>

무창층

개구부는 소방시설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무창층’에 해당하지 않는 크기의 개구부만을 인정하고 있다.
무창층(無窓層)은 화재 시 건물 안으로 진입하여 소방활동을 하기에 지장이 있는 지상층을 규정한 것이
다. 건축물의 지상 어떤 층이 소방시설법에서 규정한 창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면 무창층이 되고, 무창층
이 되는 층은 강화된 소방설비를 갖추어야만 한다.7)
무창층 규정은 소방활동을 하는 사람이 개구부의 유리를 깨고 진입할 수 있는 크기 등의 합을 바닥면적
의 비례로 규정하고 있다.
‘무창층(無窓層)’이란 지상층 중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갖춘 개구부(건축물에서 채광·환기·통풍 또는
출입 등을 위하여 만든 창·출입구, 그밖의 이와 비슷한 것)의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의 바닥면적의 1/30
이하가 되는 층을 말한다.
① 크기는 지름 50㎝ 이상의 원이 내접(內接)할 수 있는 크기일 것
② 해당 층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부 밑부분까지의 높이가 1.2m 이내일 것
③ 도로 또는 차량이 진입할 수 있는 빈터를 향할 것
④ 화재 시 건축물로부터 쉽게 피난할 수 있도록 창살이나 그 밖의 장애물이 설치되지 아니할 것

⑤ 내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부수거나 열 수 있을 것
<소방시설법 시행령 제2조 제1호>

무창층의 개념 ⓒ이재인
소방시설법상 무창층 규정은 ①50㎝에 내접하는 부분, ②도로의 너비, ③쉽게 부술 수 있는 유리라는 3
가지 부분에서 해석상 논란이 되었으며, 소방방재청(현, 국민안전처)은 관련하여 지침을 만들었다.

무창층 판단의 해석상 논란이 되는 부분 ⓒ이재인
①50㎝에 내접하는 부분
∙ 50㎝에 내접하는 부분은 창틀 부분은 제외하고 유리만 해당하고,
∙ 유리는 쉽게 파괴할 수 있는 유리여야 한다.

②도로의 너비
∙ 「건축법」상 도로기준을 따른다.
예) 일반도로: 4m 이상, 막다른 도로: 길이에 따라 2~6m 이상

③쉽게 부술 수 있는 유리
∙ 일반유리: 두께 6mm 이하
∙ 강화유리: 두께 5mm 이하
∙ 복층유리
└ 일반유리 두께 6mm 이하 + 공기층 + 일반유리 두께 6mm 이하

└ 강화유리 두께 5mm 이하 + 공기층 + 강화유리 두께 5mm 이하
∙ 기타 소방서장이 쉽게 파괴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것

법의 이해는 법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른 용어 정의의 이해로부터 출발한다. 따라서 유사 용어
라 할지라도 같은 용어가 아니라면 완전히 다른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 법을 이해해
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소방방재청, 「무창층기준해석에 대한 업무처리 지침」, 2011.03.
주석
1
따라서 문화 및 집회시설, 의료시설, 공동주택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건축물은 반드시 주요구조부를
내화(耐火)구조로 하여야 한다. <「건축법」 제50조 제1항>
2
방화구획설치 제외대상 건축물은 ①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이거나 불연재료인 건축물 외에도 ②단독주
택(다중주택 및 다가구주택은 제외),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발전시설(발전소의 부속용도로 쓰는 시설
은 제외), 교도소·감화원 또는 묘지 관련 시설(화장장은 제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및 ③내부설비의 구
조상 방화벽으로 구획할 수 없는 창고시설이 제외대상으로 규정되어 있다. <「건축법 시행령」 제57조
제1항 단서조항>
3
방화문은 갑종 방화문과 을종 방화문이 있다. 갑종 방화문은 비차열(非遮熱: 화재로 인한 열은 막지 못
하지만 화염은 막음) 1시간 이상, 차열(遮熱: 화재로 인한 열도 막음) 30분 이상의 성능을 지니며, 을종
방화문은 비차열 30분 이상의 성능이 확보된 문을 말한다.
4
소방시설법은 현재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서 2016년 1월 21일부터 「화재
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로 법률명칭이 바뀐다.
5
<소방시설법 제2조 제1항 제3호>
6
1.공동주택, 2.근린생활시설, 3.문화 및 집회시설, 4.종교시설, 5.판매시설, 6.운수시설, 7.의료시설, 8.교육
연구시설, 9.노유자시설, 10.수련시설, 11.운동시설, 12.업무시설, 13.숙박시설, 14.위락시설, 15.공장, 16.
창고시설, 17.위험물 저장 및 처리 시설, 18.항공기 및 자동차 관련 시설(건설기계 관련 시설을 포함한
다), 19. 동물 및 식물 관련 시설, 20.분뇨 및 쓰레기 처리시설, 21.교정 및 군사시설, 22.방송통신시설,
23.발전시설, 24.묘지 관련 시설, 25.관광 휴게시설, 26.장례식장[의료시설의 부수시설(「의료법」 제36조
제1호에 따른 의료기관의 종류에 따른 시설을 말한다)은 제외한다], 27.지하가, 28.지하구, 29.문화재,
30.복합건축물. <소방시설법 시행령 [별표2]>
7
무창층 관련 소방시설의 종류는 ①옥내소화전설비(무창층 바닥면적 600㎡ 이상이 있는 것은 전층), ②
스프링클러설비․제연설비(무창층 바닥면적 1,000㎡ 이상), ③비상조명등(무창층 바닥면적 450㎡ 이상),
④다중이용업소(「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항 1호 및 동법시행령 제2조 참
조) 간이스프링클러설비(무창층인 경우 면적에 상관없이). 소방방재청(현,국민안전처), 「무창층기준해석
에 대한 업무처리 지침」, 2011.03.

건축물의 마감재료 내화구조 및 방화구


출처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글 이재인| 명지대 건축대학 교수
‘건축 어렵지 않아요’라는 말을 글로 옮겨가고 있다. 저역서로는 『건축 속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르 코르
뷔지에 건축가의 길을 말해줘』,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세계의 건축물』, 『다빈치의 위대한 발명품』 등이
있다. 현 서울시, 공공건축가(MA&MP)로 활동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건축물의 마감재료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마감재료 제한

건축계획 차원에서 건축물의 구조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내화구조이고, 건축물 내부 상호
간의 화재확산을 방지하는 방화구획을 하였다 하더라도 화재안전을 담보하기엔 부족하다. 우리 실생활
은 건축물의 구조체보다는 마감재료에 더 밀접하게 노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축법」에서는
방화요건으로 건축물의 구조요건 및 방화구획요건 외에 특정용도 및 일정면적 이상 되는 건축물의 마
감재료의 내화기준을 규정하고 있다(「건축법」 제52조, 동법 시행령 제61조, 피난방화규칙 제24조).
12

1 상하이 고층빌딩 화재(왼쪽) <출처: (CC BY) monkeyking(Peijin Chen)@Wikimedia Commons>
2 건축물 화재(오른쪽) <출처: (CC BY-SA) Sylvain Pedneault@Wikimedia Commons>
건축물 화재와 마감재료의 상관관계에 있어, 일반적으로 화재는 내부에서 발화하여 건축물 안쪽으로 번
져 나간다는 것이 「건축법」의 입장이었다. 그래서 마감재료는 내부 마감재료의 제한만 규정되어 있었
다. 그러나 다양한 건축재료가 등장함에 따라 재료의 특성상 건축물 외장재료를 통해서도 화재가 확산
될 수 있게 되었다. 결국 2010년 10월 부산 고층 오피스텔의 화재사건을 계기로 법 개정의 필요성이 촉
발되었고, 이후 건축물 외부 마감재료에 대한 규정이 신설되었다.1) 또한 도시는 건축물들이 밀집하여
고층화되고 있으나 그런데 소방살수차에서 뿌린 물이 닿을 수 있는 최대 높이는 15층 정도이고, 소방용
고가사다리가 닿을 수 있는 최대 높이도 52m(15~18층) 정도이다. 15층 이상의 모든 건물에서는 화재
대응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고층건축물의 방화 및 피난은 건축계획에서 좀 더 세심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공감대도 형성되었다. 따라서 2011년 3월 8일에는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마감재료 제한규정의 내용 구성

「건축법」은 건축물의 구조뿐 아니라 마감재료의 불연화를 통한 화재의 확산방지를 목표로 건축물의 용
도 및 규모 기준에 따라 마감재료를 제한하고 있다. 법령에 의해 정해진 건축물의 마감재료는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및 난연재료로 해야 한다. 따라서 적용대상 외의 건축물의 마감재료는 특별한 법적제한이
없다.

마감재료의 성능에 따른 위계와 개념정의
*「건축법 시행령」 제2조 제9호 내지 11호 등 참조.
마감재료의 제한은 내용상 ①실내 마감재료 및 외부 마감재료의 제한 ②특정 용도의 거실 부분과 피난
동선(계단, 주된 복도 및 통로) 마감재료의 제한 및 ③지하층 거실 마감재료의 특별한 관리로 구분할 수
있다.
법령에 규정된 건축물(「건축법 시행령」 제61조 제1항)에 대하여는 그 거실의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
는 부분(반자돌림대·창대 기타 이와 유사한 것을 제외한다)의 마감은 불연재료·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
료로 하여야 하며, 그 거실에서 지상으로 통하는 주된 복도·계단 기타 통로의 벽 및 반자의 실내에 접하
는 부분의 마감은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피난방화규칙 제24조 제1항>

내부 마감재료 적용부분

「건축법」에서는 특정용도 및 일정면적 이상의 건축물에 대하여 내부 마감재료를 거실과 피난동선(계
단, 주된 복도 및 통로)을 구분하여 제한하고 있다. 이때 제한대상이 적용되는 부분은 건축물의 벽, 반자,
지붕(반자가 없는 경우에 한정)이며, 실내장식물2)과는 구분하고 있다.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 제한 대상 부분: 반자가 있는 거실의 경우 Ⓒ이재인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 제한 대상 부분: 반자가 없는 거실의 경우 Ⓒ이재인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 제한 대상 부분: 피난동선(계단, 복도 및 통로)의 경우 Ⓒ이재인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 제한

내부 마감재료를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료로 해야 하는 건축물은 공동주거 형식의 주택과
사람들이 많이 모여 있는 시설, 위험물질을 다루는 시설, 공장 및 노약자들이 이용하는 시설 등이다.

● 건축물의 마감재료 규정적용 대상 건축물

① 단독주택: 다중주택·다가구주택
② 공동주택
③ 제2종 근린생활시설:
공연장·종교집회장·인터넷컴퓨터게임시설제공업소·학원·독서실·당구장·다중생활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
축물
④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자가난방과 자가발전 등의 용도로 쓰는 시설 포함), 자동차 관련 시설, 방송
통신시설 중 방송국·촬영소 또는 발전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⑤ 공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다만, 건축물이 1층 이하이고, 연면적 1,000㎡ 미만으로서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갖춘 경우는 제외한다.
가.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화재위험이 적은 공장용도로 쓸 것
나. 화재 시 대피가 가능한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출구를 갖출 것
다. 복합자재[불연성인 재료와 불연성이 아닌 재료가 복합된 자재로서 외부의 양면(철판, 알루미늄, 콘
크리트박판,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과 심재(心材)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를
내부 마감재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품질기준에 적합할 것
⑥ 5층 이상인 층 거실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500㎡ 이상인 건축물
지상층 거실 마감부분에 난연재료를 사용할 수 없는 용도
⑦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운수시설, 의료시설, 교육연구시설 중 학교(초등학교만 해당)·
학원,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업무시설 중 오피스텔, 숙박시설, 위락시설(단란주점 및 유흥주점은 제외),
장례식장,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2조에 따른 다중이용업(단란주점영업
및 유흥주점영업은 제외)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
⑧ 창고로 쓰이는 바닥면적 600㎡(스프링클러나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자동식 소화설비를 설치한 경우
는 1,200㎡) 이상인 건축물. 다만, 벽 및 지붕을 국토교통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화재확산 방지구조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한 건축물은 제외한다.
<「건축법 시행령」 제61조 제1항>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의 제한 Ⓒ이재인
이들 ‘건축물의 마감재료 규정적용 대상 건축물’의 거실 마감재료는 불연재료, 준불연재료 또는 난연재
료 중에서만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계단이나 복도 및 주된 통로와 같이 피난에 이용되는
공간에는 난연성능이 낮은 난연재료는 사용할 수 없고, 불연재료나 준불연재료로만 마감을 해야 한다
(피난방화규칙 제24조 제1항).
또한 지하층에 적용대상용도의 거실을 두거나 다중이 이용하는 특정용도, 노유자 및 약자들이 이용하는
시설의 경우는 난연재료로 마감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피난방화규칙 제24조 제2항). 화재확산 및
피난 등에 구조적으로 취약한 지하층 거실의 마감재료 적용부위는 벽 및 반자 외에도 출입문과 문틀이
포함된다(건축물의 마감재료 규정적용 대상 건축물의 ⑦ 부분).

지하층 거실의 내부 마감재료 제한 대상 부분 Ⓒ이재인

건축물 외부 마감재료 제한

건축물 외부 마감재료의 제한은 건축물의 밀도가 높은 상업지역의 건축물 중 면적이 크거나 화재의 위
험이 상대적으로 높은 공장의 가까운 위치에 있는 건축물 등과 소방차가 대응 가능한 높이를 기준으로
규정하고 있다.
● 건축물 외부 마감재료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해야 하는 대상
1. 상업지역(근린상업지역 제외)의 건축물로서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가. 제1종 근린생활시설, 제2종 근린생활시설, 문화 및 집회시설, 종교시설, 판매시설, 의료시설, 교육연
구시설, 노유자시설, 운동시설 및 위락시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용도로 쓰는 바닥면적의 합계
가 2,000㎡ 이상인 건축물
나. 공장(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화재 위험이 적은 공장은 제외한다)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부터
6m 이내에 위치한 건축물
2. 6층 이상 또는 높이 22m 이상인 건축물
<「건축법 시행령」 제61조 제2항>
참고로 우리나라의 경우 소방차와 건축물의 대응 관계를 작업높이 기준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1. 70m(약 23층)까지 대응 가능
2. 53m(약 17층)까지 대응 가능
3. 46m(약 15층)까지 대응 가능
4. 33m(약 11층)까지 대응 가능
5. 27m(약 8층)까지 대응 가능[굴절사다리차]
6. 22m(약 6층)까지 대응 가능

근린상업지역을 제외한 상업지역에서 건축물 외장재료의 난연재료 사용금지 대상 건축물 용도 Ⓒ이재인

근린상업지역을 제외한 상업지역에서 공장으로부터 6m 이내에 있는 건축물 외장재료의 난연재료 사용금
지 Ⓒ이재인

건축물 외부 마감재료의 난연재료 사용금지 대상 규모: 6층 이상, 22m 이상의 건축물 Ⓒ이재인

고층건축물의 화재확산 방지구조

6층 이상, 22m 이상의 건축물은 외부 마감재료를 불연재료나 준불연재료로 마감하여야 한다. 그러나
고층건축물(30층 이상이거나 120m 이상의 건축물)의 외벽을 화재확산 방지구조 기준(「건축물 마감재
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확산 방지구조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난연재료를 마감재료로 사
용할 수 있다(피난방화규칙 제24조 제5항 단서조항).

화재확산 방지구조의 예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확산 방지구조 기준」 [별표1]
건축물의 마감재료 규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대상 건축물 내부 마감재료
① 지상층 거실: 불연, 준불연, 난연재료
② 지하층 거실 및 피난동선 공간(통로, 복도, 계단 등): 난연재료 금지
③ 지상층의 다중이용업 같은 특정용도 거실: 난연재료 금지

2. 대상 건축물 외부 마감재료
① 대상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 난연재료 금지
② 고층건축물 확산방지구조 설치 시: 난연재료 사용가능

참고문헌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국토교통부. 「건축물 마감재료의 난연성능 및 화재확산 방지구조 기준」. 2015.10.13.
주석
1
부산 오피스텔의 경우는 외부 마감재를 타고 화재가 급속히 상부로 번져 나갔다.
2
’실내장식물’이란 건축물 내부의 천장이나 벽에 붙이는(설치하는) 것으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가구류(옷장, 찬장, 식탁, 식탁용 의자, 사무용 책상, 사무용 의자 및 계산대,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와 너비 10㎝ 이하인 반자돌림대 등과 「건축법」 제52조에 따른 내부
마감재료는 제외한다.
1. 종이류(두께 2㎜ 이상인 것을 말한다)ㆍ합성수지류 또는 섬유류를 주원료로 한 물품
2. 합판이나 목재
3.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간이 칸막이(접이식 등 이동 가능한 벽체나 천장 또는 반자가 실내
에 접하는 부분까지 구획하지 아니하는 벽체를 말한다)
4. 흡음이나 방음을 위하여 설치하는 흡음재(흡음용 커튼 포함) 또는 방음재(방음용 커튼 포함)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 제3조 (실내장식물)>

내화구조 및 방화구 방화구조와 연소할
획 우려가 있는 부분

출처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글 이재인| 명지대 건축대학 교수
‘건축 어렵지 않아요’라는 말을 글로 옮겨가고 있다. 저역서로는 『건축 속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르 코르
뷔지에 건축가의 길을 말해줘』,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세계의 건축물』, 『다빈치의 위대한 발명품』 등이
있다. 현 서울시, 공공건축가(MA&MP)로 활동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방화지구 안의 건축

도시 차원의 방화요건

도시에는 특히 건축물이 밀집해 있는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부분들은 화재 시 인근 건축물로 확산될 가
능성이 높다. 따라서 시장이나 도로변의 건축물 밀집 지역은 화재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도시계획을
통해 방화지구(Fire Prevention Zones)로 지정하여 관리한다.1)
12

1  방화지구: 건축물 밀집지역 Ⓒ이재인 2  방화지구: 시장(시애틀) Ⓒ이재인

국토계획법으로 지정ㆍ관리되고 있는 여타 지구들2)은 도시 내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목적으로 지정된

다. 이에 반해 방화지구는 도시 차원의 위험방지를 목적으로 지정된다는 특징이 있다.

방화지구는 도시 차원의 건축허가요건을 규제하는 것으로서 내용상 크게 3가지로 ①방화지구 안의 건
축물의 주요구조부 및 외벽의 내화구조 규정, ②방화지구 안의 공작물 주요부의 불연재료 사용 규정, ③
방화지구 내 건축물의 지붕 및 인접대지 경계선 부근의 개구부 관리 규정이 있다.

방화지구 안의 건축물

원칙적으로 방화지구 안에서는 건축물의 주요구조부3)(※건축 중 주요구조부 이미지 참조)와 외벽을 내
화구조(※내화구조 및 방화구획 참조)로 하여야 한다(「건축법」 제51조 제1항).

방화지구 내 건축물의 주요구조부와 외벽: 내화구조 사례 Ⓒ이재인
그러나 방화지구 안의 건축물이라 하더라도 규모가 작은 부속건축물과 주요구조부가 불연재료(※건축
물의 마감재료 참조)로 건축된 도매시장의 경우는 주요구조부 및 외벽을 내화구조로 하지 않을 수 있도
록 건축규모와 건축물의 이용 특성 등을 고려하여 예외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 방화지구 안의 건축물 중 주요구조부 및 외벽을 내화구조로 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1. 연면적 30㎡ 미만인 단층 부속건축물로서 외벽 및 처마면이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것
2. 도매시장의 용도로 쓰는 건축물로서 그 주요구조부가 불연재료로 된 것
<「건축법 시행령」 제58조>

주요구조부가 불연재료로 된 도매시장 <출처: (CC BY-SA) ChongDae@Wikimedia Commons>

방화지구 안의 건축물 중 주요구조부와 외벽을 내화구조로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이재인

방화지구 안의 공작물

방화지구 안의 공작물로서 간판, 광고탑,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공작물 중 건축물의 지붕 위에
설치하는 공작물이나 높이 3m 이상의 공작물은 주요부를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건축법」 제51조 제
2항).

방화지구 내 건축물의 지붕 위에 설치하는 공작물: 주요부는 의무적으로 불연재료 Ⓒ이재인

방화지구 내 3m이상 공작물: 주요부는 의무적으로 불연재료 Ⓒ이재인

방화지구 안의 지붕·방화문 및 인접대지 경계선에 접하는 외벽

방화지구는 도시 내 다른 지역에 비해 건축물의 밀도가 높은 지역이다. 따라서 화재 시 인근 건축물로의
확산위험도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건축물이 내화구조라 하더라도 창문이나 문 및 환기 구멍 등을 통하
여 화재가 인근으로 확산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건축법」은 인접대지 경계선으로 향하고 있는 건축
물의 개구부에는 방화문이나 방화설비를 하도록 하는 등의 규정을 두고 있다. 규정은 크게 2가지로 1.
내화구조가 아닌 지붕의 관리, 2. 인접대지 경계선 부근의 개구부 관리 규정이다.
1. 방화지구 내 건축물의 지붕으로서 내화구조가 아닌 것은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방화지구 내 건축물 지붕 중 내화구조가 아닌 것은 불연재료로 마감 Ⓒ이재인
2. 방화지구 내 건축물의 인접대지 경계선에 접하는 외벽에 설치하는 창문 등으로서 연소할 우려가 있
는 부분(※방화구조와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 참조)에는 방화문이나 방화설비를 하여야 한다(피난방
화규칙 제23조).

● 방화지구 안의 인접대지 경계선에 접하는 외벽에 설치해야 하는 방화문 및 방화설비
① 갑종 방화문
② 소방법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하게 창문 등에 설치하는 드렌처4)
③ 당해 창문 등과 연소할 우려가 있는 다른 건축물의 부분을 차단하는 내화구조나 불연재료로 된 벽·
담장 기타 이와 유사한 방화설비
④ 환기구멍에 설치하는 불연재료로 된 방화커버 또는 그물눈이 2㎜ 이하인 금속망
<피난방화규칙 제23조>

방화지구 안의 인접대지 경계선에 접하는 외벽에 설치해야 하는 방화문 및 방화설비 Ⓒ이재인

참고문헌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주석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37조 제1항 제4호
2
국토계획법에 의해 지정ㆍ관리되고 있는 지구들은 1.경관지구: 경관을 보호·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
구, 2.미관지구: 미관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3.고도지구: 쾌적한 환경 조성 및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건축물 높이의 최저한도 또는 최고한도를 규제할 필요가 있는 지구, 4.방화지구: 화재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5.방재지구: 풍수해, 산사태, 지반의 붕괴, 그 밖의 재해를 예방하
기 위하여 필요한 지구, 6.보존지구: 문화재, 중요 시설물 및 문화적·생태적으로 보존가치가 큰 지역의
보호와 보존을 위하여 필요한 지구, 7.시설보호지구: 학교시설·공용시설·항만 또는 공항의 보호, 업무기
능의 효율화, 항공기의 안전운항 등을 위하여 필요한 지구, 8.취락지구: 녹지지역·관리지역·농림지역·자
연환경보전지역·개발제한구역 또는 도시자연공원구역의 취락을 정비하기 위한 지구, 9.개발진흥지구:
주거기능·상업기능·공업기능·유통물류기능·관광기능·휴양기능 등을 집중적으로 개발·정비할 필요가 있는
지구, 10.특정용도제한지구: 주거기능 보호나 청소년 보호 등의 목적으로 청소년 유해시설 등 특정시설
의 입지를 제한할 필요가 있는 지구 등이 있다.
<국토계획법 제37조 제1항>
3
‘주요구조부’란 내력벽(耐力壁), 기둥, 바닥, 보, 지붕틀 및 주계단(主階段)을 말한다. 다만, 사이 기둥, 최
하층 바닥, 작은 보, 차양, 옥외 계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으로 건축물의 구조상 중요하지 아니한 부
분은 제외한다. <「건축법」 제2조 제1항 제7호>

4
드렌처(Drencher): 건물의 지붕, 처마, 창 위 등에 개방된 살수 노즐을 배치하고 이것을 배관에 의해서
수원(水源)에 연결한 것. 화재 시 연소를 방지하기 위해 압력수를 보내서 살수 노즐로부터의 방수를 통
한 수막으로 연소(延燒)를 방지하는 설비

내화구조 및 방화구 방화구조와 연소할 건축물의 마감재료
획 우려가 있는 부분

출처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글 이재인| 명지대 건축대학 교수
‘건축 어렵지 않아요’라는 말을 글로 옮겨가고 있다. 저역서로는 『건축 속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르 코르
뷔지에 건축가의 길을 말해줘』,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세계의 건축물』, 『다빈치의 위대한 발명품』 등이
있다. 현 서울시, 공공건축가(MA&MP)로 활동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건축물의 피난규정

건축허가의 피난요건

건축물에서의 피난 관련 요건은 건축허가요건을 이루는 중요한 규정이다. 일반적으로 피난은 건축물의
화재상황을 염두에 두고 검토된다. 때문에 「건축법」에서는 대피 관련 규정의 상당부분을 화재상황으로
상정하고 있고, 방화규정과 피난규정을 엄격하게 구분하고 있지 않다.
12

1 대피훈련 <출처: Wikimedia Commons>
2 내슈빌 홍수 <출처: (CC BY-SA) Stephen Yeargin @Wikimedia Commons>
그러나 사람들이 건축물에서 대피하여야 하는 재난은 화재 외에도 지진, 홍수, 테러 등 다양하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화재만을 대상으로 하는 방화규정과 다양한 대피상황을 염두에 두어야 하
는 피난 관련 규정은 구분하여 이해할 필요가 있다.
건축물에서의 피난요건을 규정하는 방식은 크게 2가지로, 사양방식과 성능방식이 있다. 사양방식이란
건축 상황을 일반화시켜 놓고 피난시설의 개수, 치수, 면적, 위치 등을 구체적으로 규정하는 방식을 말
한다. 반면에 성능방식이란 건축적 특수상황에서 법으로 규정된 사양을 맞출 수는 없지만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방식이다. 우리나라의 「건축법」은 전적으로 사양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해외에서는 사양방식을 기본으로 하되,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 층이나 특정 공
간에서 성능방식을 채택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1) 성능방식의 피난검토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
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나, 일본의 「건축기준법」에서는 피난성능을 검토할 수 있는 계산방식을 규정하고
있다.

피난 관련 규정의 구성

피난이란 건축물 내에서 안전한 곳(공공공지(公共空地) 또는 도로)까지 막힘없이 안전하게 도달하는 것
을 의미한다. 피난 관련 규정은 규모측면에 있어서 고층 건축물(30층 이상이거나 120m 이상인 건축물)
과 기타 규모의 건축물을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으며(「건축법」 제50조의2), 피난개념 측면에 있어서는
①건축물 내부에서의 대피통로(피난시설: 계단(직통계단, 피난계단, 특별피난계단, 옥외피난계단), 복도
및 보행거리 등)를 확보하기 위한 규정, ②건축물 내부에서 밖으로 탈출하기 위한 출구규정, ③건축물
출구에서 안전한 장소(도로 또는 공공공지)까지 이동하거나 소화(消火)에 필요한 통로(대지 안의 통로)
규정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건축법」 피난의 개념 Ⓒ이재인

건축물 용도복합 제한

화재로 인한 대피 시 상대적으로 피난이 어려운 이용자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노인, 어린이, 병이나 출
산으로 거동이 어려운 사람 등이다. 따라서 「건축법」에서는 이러한 피난약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
하여 건축물의 용도복합을 제한하는 규정을 마련하고 있으며, 건축물의 용도복합 제한은 2가지의 취지
로 규정되고 있다. 첫째, 화재의 위험이 높은 용도와 피난에 지장이 있다고 판단되는 용도 상호간의 복
합 제한, 둘째, 피난약자들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용도 상호간의 복합을 제한하는 규정이다.

피난과 방화에 장애가 되는 용도복합 제한 Ⓒ이재인
(1) 화재의 위험이 높은 용도와 피난에 지장이 있다고 판단되는 용도 상호간의 복합제한

화재의 위험이 높은 용도(위락시설2),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3), 공장 또는 자동차 관련 시설(정비공장만
해당))와 피난에 지장이 있는 이용자들이 이용하는 용도(의료시설, 노유자시설4)(아동 관련 시설 및 노인
복지시설만 해당한다), 공동주택 또는 장례식장)를 하나의 건축물 안에 함께 건축한다면 화재 상황에서
대피 시 큰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건축법」에서는 이들 용도 상호간의 복합을 원칙적으
로 금지하고 있다(「건축법 시행령」 제47조 제1항).

그러나 불가분의 이용성을 가지고 있는 용도,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혹은 초고층
건축물의 경우는 예외적으로 용도의 복합을 허용하고 있다(「건축법 시행령」 제47조 제1항 단서조항).

① 기숙사는 공동주택5)으로 분류되어 있어 원칙적으로 공장과 함께 건축할 수 없지만, 두 용도는 이용
성으로 볼 때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함께 건축할 수 있다.

예외적으로 용도복합이 가능한 공장과 기숙사 Ⓒ이재인

예외적으로 용도복합이 가능한 도시환경정비사업 구역 Ⓒ이재인
② 중심상업지역(용적률 400% 이상 1,500% 이하)·일반상업지역(용적률 300% 이상 1,300% 이하) 또는
근린상업지역(용적률 200% 이상 900% 이하)6) 중 도시기능 회복이나 상권활성화 등이 필요하다고 판단
되어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도시환경정비사업7)을 시행하는 경우 또한 예외적으로 용도복합을 할
수 있다.

예외적으로 용도복합(공동주택+위락시설)이 가능한 초고층 건축물의 건축기준 Ⓒ이재인
③ 초고층 건축물에 공동주택과 위락시설이 같이 있는 경우도 예외적으로 용도복합을 허용하고 있지만,
사생활을 보호하고 방범·방화 등 주거안전을 보장하며 소음·악취 등으로부터 주거환경을 보호할 수 있
도록 주택의 출입구·계단 및 승강기 등을 주택 외의 시설과 분리된 구조로 하여야 한다.

(2) 피난약자들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용도 상호간의 복합을 제한하는 규정8)

① 노유자시설 중 아동 관련 시설 또는 노인복지시설과, 판매시설 중 도매시장 또는 소매시장은 상호간
용도복합을 하여 건축할 수 없다.

아동 관련 시설 또는 노인복지시설 vs 판매시설 중 도매시장 또는 소매시장 상호간의 용도복합 제한 Ⓒ이
재인
② 단독주택(다중주택, 다가구주택에 한정한다), 공동주택, 제1종 근린생활시설 중 조산원 또는 산후조
리원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 중 다중생활시설(고시원)은 상호간 용도복합을 하여 건축할 수 없다. 이 조
항은 소규모 단위의 거주기능이 있는 용도들 중 피난약자들이 거주하는 용도와의 복합을 제한하고 있
다.

소규모 단위의 거주기능이 있는 용도 vs 고시원 상호간 용도복합 제한 Ⓒ이재인

참고문헌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국토부. 「토지이용안내: 용어사전」, 2009.05.
이재인. “한·미·일 건축법 비교를 통한 건축물 피난시설 규정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9 n.1,
2013.01.
주석
1
이재인, “한·미·일 건축법 비교를 통한 건축물 피난시설 규정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9 n.1,
2013.01. pp.81~89.
2
건축물 용도분류 28가지 대분류로서 위락시설은 ①단란주점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 이상인
것, ②유흥주점이나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 ③「관광진흥법」에 따른 유원시설업의 시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시설(제2종 근린생활시설과 운동시설에 해당하는 것은 제외), ④무도장, 무도학원, ⑤카지노영업
소로 세분류된다. <「건축법 시행령」 [별표1]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제16호>
3
건축물 용도분류 28가지 대분류로서 위험물저장 및 처리시설은 「위험물안전관리법」, 「석유 및 석유대
체연료사업법」, 「도시가스사업법」,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
「총포·도검·화약류 등 단속법」, 「유해화학물질 관리법」 등에 따라 설치 또는 영업의 허가를 받아야 하
는 건축물로서 다음의 ①~⑨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다만, 자가난방, 자가발전, 그 밖에 이와 비슷한
목적으로 쓰는 저장시설은 제외한다. ①주유소(기계식 세차설비를 포함한다) 및 석유 판매소, ②액화석
유가스 충전소·판매소·저장소(기계식 세차설비를 포함한다), ③위험물 제조소·저장소·취급소, ④액화가스
취급소·판매소, ⑤유독물 보관·저장·판매시설, ⑥고압가스 충전소·판매소·저장소, ⑦도료류 판매소, ⑧도

시가스 제조시설, ⑨화약류 저장소 등으로 세분류된다. <「건축법 시행령」 [별표1] 용도별 건축물의 종
류 제19호>
4
건축물 용도분류 28가지 대분류로서 노유자시설은 ①아동 관련 시설(어린이집, 아동복지시설,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단독주택, 공동주택 및 제1종 근린생활시설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을 말한다),
②노인복지시설(단독주택과 공동주택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을 말한다), ③그 밖에 다른 용도로 분류
되지 아니한 사회복지시설 및 근로복지시설로 세분류된다. <「건축법 시행령」 [별표1]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제11호>
5
건축물 용도분류 28가지 대분류로서 공동주택은 ①아파트, ②연립주택, ③다세대주택, ④기숙사로 세분
류된다. <「건축법 시행령」 [별표1]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 제2호>
6
국토계획법 시행령 제85조 제1항
7
상업지역·공업지역 등을 대상으로 토지의 효율적 이용과 도심 또는 부도심 등 도시기능 회복이나 상권
활성화 등이 필요한 지역에서 도시환경을 개선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사업으로 과거 「도시재개발법」에
의한 도심재개발사업 또는 공장개발사업이 현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의한 도시환경정비사업
으로 대체된 개념이다. 정비사업의 종류에는 주거지역 위주의 ①주거환경개선사업, ②주택재개발사업,
③주택재건축사업과 상업ㆍ공업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④도시환경정비사업이 있다. 국토부, 「토지이용
안내: 용어사전」, 2009.5. p.82 및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참조.
8
「건축법 시행령」 제47조 제2항

출처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글 이재인| 명지대 건축대학 교수
‘건축 어렵지 않아요’라는 말을 글로 옮겨가고 있다. 저역서로는 『건축 속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르 코르
뷔지에 건축가의 길을 말해줘』,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세계의 건축물』, 『다빈치의 위대한 발명품』 등이
있다. 현 서울시, 공공건축가(MA&MP)로 활동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계단의 설치기준

건축물의 피난시설

건축계획에 있어 일반적으로 계단은 기능적 측면에서 다루어지며, 이것을 어떻게 설치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는 전적으로 건축주와 설계자의 자유로운 판단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만 연면적 200㎡를 초과하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계단은 위험방지를 목적으로 「건축법」의 통제 대상이 된다(「건축법 시행령」 제48
조).

프랑스 파리의 극장 ‘오페라 가르니에’의 계단 <출
처: (CC BY-SA) Manfred Heyde @Wikimedia
Commons>

계단의 설치기준: 일반사항

연면적 200㎡를 초과하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계단의 설치기준은 4가지가 있다(피난방화규칙 제15조 제
1항).
1. 높이 3m를 넘는 계단에는 높이 3m이내마다 유효너비 120㎝ 이상의 계단참 설치
2. 높이 1m를 넘는 계단 및 계단참의 양 옆에는 난간(벽 또는 이에 대치되는 것 포함) 설치

계단의 설치기준: 계단참과 난간 Ⓒ이재인
3. 너비 3m를 넘는 계단에는 계단의 중간에 너비 3m 이내마다 난간 설치
다만, 계단의 단높이가 15㎝ 이하이고, 계단의 단너비가 30㎝ 이상인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12

1 계단의 설치기준: 계단의 너비 Ⓒ이재인
2 중간에 난간이 설치된 옥외계단 <출처: Wikimedia Commons>

계단설치의 예외기준 Ⓒ이재인
4. 계단의 유효 높이(계단의 바닥 마감면부터 상부 구조체의 하부 마감면까지의 연직방향의 높이)는
2.1m 이상

계단의 설치기준: 계단의 유효높이 Ⓒ이재인

계단의 설치기준: 단높이와 단너비 등

연면적 200㎡를 초과하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계단 및 계단참의 너비(옥내계단에 한한다), 계단의 단높
이 및 단너비의 치수는 건축물의 용도 및 거실 바닥면적의 합계에 따라 달리 규정되어 있다.

계단의 단높이, 단너비, 계단 및 계단참의 너비 기준 Ⓒ 이재인

연면적 200㎡를 초과하는 건축물에 설치하는 계단의 설치기준(피난방화규칙 제15조 제2항)
제26조(계단의 강도)
①사업주는 계단 및 계단참을 설치하는 경우 500㎏/㎡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진 구조로 설
치하여야 하며, 안전율[안전의 정도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재료의 파괴응력도(破壞應力度)와 허용응력도(許
容應力度)의 비율을 말한다)]은 4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②사업주는 계단 및 승강구 바닥을 구멍이 있는 재료로 만드는 경우 렌치나 그 밖의 공구 등이 낙하할 위험
이 없는 구조로 하여야 한다
제27조(계단의 폭)
①사업주는 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그 폭을 1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급유용·보수용·비상용 계단 및
나선형 계단이거나 높이 1m 미만의 이동식 계단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사업주는 계단에 손잡이 외의 다른 물건 등을 설치하거나 쌓아 두어서는 아니 된다.
제28조(계단참의 높이) 사업주는 높이가 3m를 초과하는 계단에 높이 3m 이내마다 너비 1.2m 이상의 계단
참을 설치하여야 한다.
제29조(천장의 높이) 사업주는 계단을 설치하는 경우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2m 이내의 공간에 장애물이 없
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급유용·보수용·비상용 계단 및 나선형 계단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제30조
(계단의 난간) 사업주는 높이 1m 이상인 계단의 개방된 측면에 안전난간을 설치하여야 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26조 내지 제30조>

만약 계단을 돌음계단으로 설치했다면, 돌음계단의 단너비는 그 좁은 너비의 끝부분으로부터 30㎝의
위치에서 측정한다(피난방화규칙 제15조 제2항).
12

1 돌음계단의 단너비 측정기준 Ⓒ 이재인
2 돌음계단 <출처: (CC BY-SA) Petar Milošević @Wikimedia Commons>

계단의 설치기준: 손잡이 등

계단의 손잡이 <출처: (CC BY) Dela Andy Kumahor @Wikimedia Commons>
공동주택(기숙사 제외)·제1종 근린생활시설·제2종 근린생활시설·문화 및 집회시설·종교시설·판매시설·운
수시설·의료시설·노유자시설·업무시설·숙박시설·위락시설 또는 관광휴게시설의 용도에 쓰이는 건축물의
주계단·피난계단 또는 특별피난계단에 설치하는 난간 및 바닥은 아동의 이용에 안전하고 노약자 및 신
체장애인의 이용에 편리한 구조로 하여야 하며, 양쪽에 벽 등이 있어 난간이 없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설
치하여야 한다(피난방화규칙 제15조 제3항).

공동주택 등의 난간·벽 등의 손잡이 설치기준 Ⓒ 이재인
또한 난간·벽 등의 손잡이와 바닥마감은 다음 3가지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한다(피난방화규칙 제
15조 제4항).
① 손잡이는 최대 지름이 3.2㎝ 이상 3.8㎝ 이하인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으로 할 것
② 손잡이는 벽 등으로부터 5㎝ 이상 떨어지도록 하고, 계단으로부터의 높이는 85㎝가 되도록 할 것
③ 계단이 끝나는 수평부분에서의 손잡이는 바깥쪽으로 30㎝ 이상 나오도록 설치할 것

계단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

건축물에 계단을 설치하지 않고 대신 경사로(ramp)를 계획한 경우는 경사도, 마감재료 기준 및 경사로
의 유효너비 기준에 적합하게 설치하여야 하며, 경사로 높이에 따른 난간이나 참의 설치 및 경사로 너비
에 따른 중간난간의 설치기준은 계단의 설치기준(일반사항)을 따르도록 규정되어 있다.

계단을 대체하여 설치하는 경사로 설치기준 Ⓒ이재인
1. 경사도는 1 : 8을 넘지 아니할 것
2. 표면을 거친 면으로 하거나 미끄러지지 아니하는 재료로 마감할 것
3. 경사로의 직선 및 굴절부분의 유효너비는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이 정
하는 기준에 적합할 것
* 경사로의 유효폭 및 활동공간
① 경사로 유효폭은 1.2m이상. 다만, 건축물을 증축·개축·재축·이전·대수선 또는 용도변경하는 경우로서
1.2m 이상의 유효폭을 확보하기 곤란한 때에는 0.9m까지 완화.
② 경사로의 시작과 끝, 굴절부분 및 참에는 1.5m×1.5m 이상의 활동공간 확보. 다만, 경사로가 직선인
경우에 참의 활동공간의 폭은 ①에 따른 경사로의 유효폭과 같게 할 수 있다.
<「장애인·노인·임산부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1] 편의시설의 구조·재질 등에
관한 세부기준>
참고문헌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건축물의 피난규정

출처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글 이재인| 명지대 건축대학 교수
‘건축 어렵지 않아요’라는 말을 글로 옮겨가고 있다. 저역서로는 『건축 속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르 코르
뷔지에 건축가의 길을 말해줘』, 『어린이가 꼭 알아야 할 세계의 건축물』, 『다빈치의 위대한 발명품』 등이
있다. 현 서울시, 공공건축가(MA&MP)로 활동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직통계단

피난계단의 요건

건축물의 피난계획은 수평적인 부분과 수직적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수평적 피난계획은 복도 및
보행거리 등으로 규정되며, 수직적인 피난계획을 담당하는 것이 계단이다. 건축계획에 있어 수직 동선
은 계단 외에도 엘리베이터가 있다. 그러나 전기공급이 차단될 가능성이 있는 재난상황에서, 고층건축
물에 설치하는 피난용 엘리베이터1)를 제외한 엘리베이터는 일반적으로 피난시설로 간주할 수 없다. 때
문에 계단은 건축물에 있어 중요한 수직 피난시설이다. 재난상황에서 사람들의 피난을 위한 대피동선은
막힘없는 통로가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건축법」은 피난용 계단(경사로 포함)의 구조를 직통으로 하
도록 규정하고 있다(「건축법 시행령」 제35조).
12

1 건축물 외부에 설치된 직통 돌음계단 <출처: pixabay.com>
2 직통계단 ⓒ이재인

직통계단의 개념

직통계단(direct stairs)이란 건축물의 모든 층(피난층(shelter floor) 제외)에서 피난층 또는 지상으로 직
접 연결되는 계단을 말한다. 그러므로 건축물의 아래위층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연결만 된다면, 그 형태
가 원형이거나 일직선의 계단이어도 무방하며, 계단의 위치가 내ㆍ외부 어디라도 좋다는 의미로 해석된
다.


Click to View FlipBook Version